그룹명/야생화 1616

제비꿀

제비꿀 쌍떡잎식물 단향목 단향과의 반기생 여러해살이풀. 학명 : Thesium chinense (시움 치넨스) East Asian thesium , 夏枯草 (이스트 아시안 세슘 ,하고초) 여름이 지나면 마른다는 뜻으로 여름 하(夏) 마를 고(枯)를 써서 하고초라고도 부른다. 양지의 풀밭에서 자란다. 다른 식물의 뿌리에 기생한다. 높이 10∼25cm이고 1개 또는 여러 대가 나오고 털이 없으며 분백색이 돈다. 잎은 어긋나고 선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3개로 갈라지기도 한다. 꽃은 양성화이고 5∼8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린다. 포는 1개, 작은 포는 2개이다. 꽃잎은 없고 꽃받침은 밑쪽이 통처럼 생기며 윗부분이 4∼5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길이 2.5∼3mm이며 밑부분에 수술이 1개씩 붙는다..

그룹명/야생화 2024.04.11

야생화 모음

산자고(山慈姑)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Tulipa edulis (튤립 에둘리스)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약 30cm이다. 비늘줄기는 달걀 모양 원형으로 길이 3∼4cm이며 비늘조각은 안쪽에 갈색 털이 빽빽이 난다. 꽃줄기는 곧게 서고 위쪽에 잎 모양의 포가 3장 달린다. 잎은 2장이 밑동에서 나온다. 줄 모양이며 길이 20∼25cm, 나비 5∼10mm이고 끝이 뾰족하다. 잎몸은 흰빛을 띤 녹색이며 털이 없다. 꽃은 4∼5월에 줄기 끝에 1∼3송이가 달리는데, 넓은 종 모양이며 위를 향하여 벌어지고 길이 2.5cm이다. 포(苞)는 바소꼴이고 길이 3cm로서 2∼3개이다. 화피갈래조각은 6개이고 바소꼴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2.4cm로서 흰색 바탕에 자줏빛 맥이 있다. ..

그룹명/야생화 2024.04.08

소래풀

지난주 처음 만났던 소래풀 봄이면 서너차례 오르내리던 그곳으로 가던길 농로옆 논둑주변에 유난히 진한 보라색꽃이 눈에들어왔다. 아침 햇살이 은은하게 스며들어 청순(淸純)함 마져 느껴졌는데 언듯보아 갓 종류일것 같았지만 갓 꽃은 노란색으로 피어난다는점에서 이름이 궁금했었다. 시답잖게 사진 몇 장 담아와서 이름을 알고나니 다시 한번 탐사(探査)해 보고싶어 그곳을 다녀왔다. 소래풀 (바이올렛 오리초프라그무스) 학명 : Orychophragmus violaceus (L.) O.E.Schulz 중국 원산의 귀화식물로 산기슭이나 길가 논둑주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 줄기는 곧게서고 높이 20~50정도이며, 아래쪽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흰가루로 덮여있다. 뿌리잎과 줄기 아래쪽 잎은 잎자..

그룹명/야생화 2024.03.30

할미꽃

할미꽃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Pulsatilla koreana 산과 들판의 양지쪽에서 자란다. 곧게 들어간 굵은 뿌리 머리에서 잎이 무더기로 나와서 비스듬히 퍼진다. 잎은 잎자루가 길고 5개의 작은잎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길이 3∼4cm이며 3개로 깊게 갈라지고 꼭대기의 갈래조각은 나비 6∼8mm로 끝이 둔하다. 전체에 흰 털이 빽빽이 나서 흰빛이 돌지만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다. 꽃은 4월에 피고 꽃자루 끝에서 밑을 향하여 달리며 붉은빛을 띤 자주색이다. 꽃줄기의 길이는 30∼40cm이며 끝에 한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린다. 작은포는 꽃대 밑에 달려서 3∼4개로 갈라지고 꽃자루와 더불어 흰 털이 빽빽이 난다. 꽃받침잎은 6개이고 긴 타원형이며 ..

그룹명/야생화 2024.03.23

소래풀

소래풀 (바이올렛 오리초프라그무스) 학명 : Orychophragmus violaceus (L.) O.E.Schulz 중국 원산의 귀화식물 산기슭이나 길가 논둑주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 줄기는 곧게서고 높이 20~50정도이며, 아래쪽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흰가루로 덮여있다. 뿌리잎과 줄기 아래쪽 잎은 잎자루가 있으며, 깃꼴로 갈라진다. 줄기의 윗쪽 잎은 좁은 난형으로 갈라지지 않으며, 밑 부분은 귀 모양으로 줄기를 감싸고 가장자리에는 잔톱니 모양 꽅은 뾰족하다. 꽃은 3~4월에 연한 붉은색 또는 보라색으로 피며,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잎은 길이 20~30mm로 꽃밭침 잎의 2배 정도이다. 열매는 선형으로 길이 5~11mm, 폭 1.5~3.0mm, 4개의 모서리가 있으며..

그룹명/야생화 2024.03.23

어제만난 봄꽃

노루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Hepatica asiatica (헤파티카 아시아티카) 이른봄에서 4월까지 흰색 또는 연한 붉은색 꽃이 피는데 잎보다 먼저 긴 꽃대 위에 1개씩 붙는다. 꽃 지름은 약 1.5cm이다. 총포는 3개로 녹색이고 흰 털이 빽빽이 난다. 꽃잎은 없고 꽃잎 모양의 꽃받침이 6∼8개 있다. 꽃받침은 대부분 연한 자줏빛이며 수술과 암술이 여러 개 있다. 열매는 수과로서 털이 나며 6월에 총포에 싸여 익는다. 올괴불나무 쌍떡잎식물 꼭두서니목 인동과의 낙엽관목. 학명 : Lonicera praeflorens (로니케라 프라에플로렌) 올아귀꽃나무라고도 한다. 산지의 숲속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어린 가지는 갈색 바탕에 검은빛 반점이 있으며 묵..

그룹명/야생화 2024.03.17

얼레지

얼레지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Erythronium japonicum (에리트로늄자포니쿰) 높은 지대의 비옥한 땅에서 자라지만 산골짜기에서 자라는 것도 있다. 비늘줄기는 바소꼴로 땅속 깊이 들어 있고 위에서 2개의 잎이 나와서 수평으로 퍼진다. 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으로 녹색 바탕에 자주색 무늬가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몸은 긴 타원형이다. 꽃줄기는 잎 사이에서 나와 끝에 1개의 꽃이 밑을 향하여 달린다. 꽃잎은 바소꼴이고 6개이며 뒤로 말리고 자주색이지만 밑부분에 W형의 무늬가 있다.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꽃밥은 진한 자색이고 선형이다. 씨방은 삼각모양의 달걀 모양이다. 열매는 7∼8월에 결실하며 삭과(蒴果)로 넓은 타원형 또는 구형이며 3개의 능선이..

그룹명/야생화 2024.03.17

노루귀

변산바람꽃이 피어날때만 해도 예년보다 열흘정도 봄꽃이 빠르게 피기 시작하는듯 헸다. 이후 변해버린 기상조건 영하로 떨어졌던 기간 이후 다시 찾아본 변산바람꽃이나 다음 순서로 볼 수 있었던 너도바람꽃 그리고 노루귀 하나 같이 동해를 입고 힘없이 쓰러지는듯 했다. 이제는 산여계곡 그곳의 노루귀도 피어나겠지 하면서 아침 일찍 들어가 보았는데 산불 감시초소를 지나 굽은 계곡길을 내려가면서 지난해 노루귀 보러갈 때에는 길옆에 진달래가 보기좋게 활짝 피어있었고 생각나무꽃도 노랗게 활짝 피어있었던 기억이 떠오르는데 이런 진달래가 보이지 않고 생강나무꽃이 보이지 않았다. 이곳저곳 두리번 거려봐도 노루귀가 보이지 않았다. 고목나무 뿌리사이 이곳에만 살짝 모습을 드러내고 있었는데 일주일 정도 더 지나야 사람들은 흔히 청노..

그룹명/야생화 2024.03.09

노루귀

지난 목요일 오후내린 비 오늘도 저 멀리 보이는 비학산 꼭대기에는 하얗게 눈덮인 모습을 볼 수가 있었다. 어제 두곳의 너도바람꽃을 보러갔을때 동해를 입은 모습도 보였는데 오늘은 근교의 소문난 그곳의 노루귀를 찾아보았다. 아침기온 영하 2도 비포장 도로 물고인곳에는 얼음이 꽁꽁 얼어있었다. 주차하고 내려서니 찬바람이 쌩쌩불었다. 골짜기 노루귀 자리에는 아직도 햇빛이 들지않아서인지 탐사나온 사람도 없었다. 응달진 골짜기 언땅을 밟고 가면서도 꽃이 어찌 살아있을까? 하는 생각을 하면서 올라서 보니 꼿꼿이 서있어야할 노루귀 줄기는 힘없이 쓰러져 있었다. 노루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Hepatica asiatica (헤파티카 아시아티카) 이른봄에서 4월까지 흰색 또는 연..

그룹명/야생화 2024.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