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원예종 썸네일형 리스트형 빅토리아수련 빅토리아수련 쌍떡잎식물 수련목 수련과의 수생 여러해살이풀. 학명 : Victoria amazonica (빅토리아 아마조니카) 큰가시연꽃이라고도 한다. 잎은 물 위에 떠 있고 원 모양이며 지름이 90∼180cm로 어린아이가 잎 위에 앉아 있을 정도로 크고 가장자리가 약 15cm 높이로 위를 향해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진다. 잎 표면은 광택이 있는 녹색이고 뒷면은 짙은 붉은 색이며 가시 같은 털이 있다. 꽃은 여름철 저녁에 물위에서 피는데, 처음에는 흰색 또는 엷은 붉은 색이지만 2일째 저녁 때에는 차츰 변하여 짙은 붉은 색이 된다. 꽃의 지름은 25∼40cm이고 꽃잎이 많으며 향기가 있다. 종자는 크기가 완두콩과 비슷하고 어두운 녹색이다. 꽃과 잎의 관상 가치가 매우 높은 관상 식물이다. 가이아나와 브라질의.. 더보기 물무궁화 유난히 빨간색의 꽃이 눈길을 끌었다 하와이무궁화 생각이 떠올랐지만 여긴 식물원의 수련정원 이름표가 세워져 있었다. 물무궁화란다 꽃이 아름답고 개화기가 길어 관상용으로 국내에 도입되어 아직도 국명을 부여받지못한 식물이라는데 시중에서 몇 가지 이름으로 유통되고 있다고 한다. 잎은 단풍잎 처럼 갈라지고 꽃은 부용처럼 닮았다고 해서 단풍잎부용 이라 부르기도 한다. 물무궁화 (비공식명) 숙근성 수생 여러해살이풀 또는 관목 아욱과 (Malvaceae) 학명 : Hibiscus coccineus (히비스커스 콕키네우스) 또는 Hibiscus coccineus Walter (히비스커스 코키니어스 월터) 영명 : Scarlet rosemallow (스칼렛 로즈멜로우) 원산지 : 미국 남동부 해안습지 높이 : 1 ~ 2m.. 더보기 아욱 아욱 쌍떡잎식물 아욱목 아욱과의 한해살이풀. 학명 : Malva verticillata (말바 버티실라타) 습기 있는 밭에서 자라며, 높이는 60∼90cm정도이다. 줄기는 곧게 서며 긴 성모(星毛:여러 갈래로 갈라진 별 모양의 털)가 난다. 잎은 어긋나고 둥글며 5 ~ 7갈래로 얕게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뭉툭한 톱니가 있다. 꽃은 6∼7월에 연분홍색으로 피는데, 잎겨드랑이에 모여 달린다. 작은포는 3장이며 잎 모양이거나 넓은 줄 모양이다. 꽃잎은 5장으로서 끝이 오목 들어간다. 수술은 10개이며 심피는 꽃받침에 싸여 바퀴 모양으로 늘어선다. 열매는 삭과이다. 재래채소로서 연한 식물체를 국거리로 이용한다. 한방에서 종자를 동규자(冬葵子) 또는 규자라 하여 분비나 배설을 원활하게 하는 약재로 사용한다. 농촌과.. 더보기 여주(고과 苦瓜) 여주 쌍떡잎식물 박목 박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 학명 : Momordica charantia Linnaeus (모모르디카 카란티아 린네우스) 우리에게 여주로 잘 알려진 열매는 실타래 모양으로 길쭉한 방추형이고 가운데가 넓으며 양쪽 끝이 뾰쪽하고 표면에 우둘투둘한 사마귀 같은 돌기가 많다. 동남아시아의 시장에서는 이 열매가 거래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열매가 완전히 익으면 끝이 3개의 봉선으로 터지면서 열리고, 안쪽에 적색 종의에 싸인 종자가 많다. 익은 열매는 쓴맛이 강하여 먹을 수 없다. 열매와 잎의 쓴맛은 모모르데신(momordicin)이라는 알칼로이드에 의한다. 이 성분은 열매가 성숙하면서 점진적으로 축적되므로 미성숙한 열매에서는 농도가 낮아 덜 쓰다. 따라서 익지 않는 미성숙한 열매를 식용으로.. 더보기 참깨 참깨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참깨과의 한해살이풀. 학명 : Sesamum indicum 참깨의 원산지는 아프리카 열대 지방이라는 설과 인도라는 설이 있으나 인도에서 시작하여 페르시아 · 메소포타미아 · 소아시아 · 이집트 등으로 퍼져 유럽에 전해졌다는 설이 유력하다. 중국에는 아라비아 상인을 통해 들어왔다고 추측하며, 한국에는 중국으로부터 전해졌다고 한다. 꽃은 7∼8월에 연분홍색으로 피고 줄기 윗부분에 있는 잎겨드랑이에 1개씩 밑을향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화관은 통 모양이며 끝이 5개로갈라진다. 수술은 4개인데 그 중에 2개가 길고 1개의 헛수술이 있으며, 암술은 1개이고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진다. 씨방은 4실이고 주변에 털이 빽빽이 있다. 열매는 삭과이고 길이 2∼3cm의 원기둥.. 더보기 지황(地黃) 지황(地黃) 현삼과 통화식물목 쌍떡잎식물강에 속하는 속씨식물. 학명은 Rehmannia glutinosa (Gaertner) Liboschitz (레흐마니아 글루티노사(가르트너) 리보스키츠 뿌리잎은 뭉쳐나고 긴 타원형인데 끝이 둔하고 밑이 좁아지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의 앞면은 오목하게 들어가 주름이 져 있으며 뒷면은 맥이 튀어나와 그물처럼 된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난다. 6~7월에 홍자색 꽃이 꽃줄기 끝에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줄기에는 잎처럼 생긴 꽃턱잎이 달리며 전체적으로 끈적끈적한 털이 빽빽하게 난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며 5개로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삼각형이고 샘털이 있다. 꽃부리는 통 모양이고 샘털이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져 퍼지면서 입술 모양을 이룬다.. 더보기 개양귀비 개양귀비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양귀비과의 두해살이풀. 학명 : Papaver rhoeas (파파버 로에아스) 우미인초(虞美人草)·애기아편꽃이라고도 한다. 높이 30∼80cm이다. 전체에 털이나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줄 모양바소꼴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보통 붉은색이지만 품종에 따라 여러 빛깔이 있으며 5∼6월에 피는데, 가지끝에 1개씩 달린다. 꽃이 피기 전에는 꽃망울이 밑을 향해 있으나 필 때는 위를향한다. 꽃받침잎은 2개로 녹색이고 가장자리는 흰색이며 겉에 털이 난다. 꽃잎은 4개가 서로 마주나고 약간 둥글다. 수술은 많고 씨방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모양이며 털이 없다. 암술대는 방사형(放射形)이다. 열매는 삭과로 달걀을 거꾸로세워.. 더보기 양귀비(楊貴妃) 양귀비(楊貴妃)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양귀비과의 두해살이풀. 학명 : Papaver somniferum (파파버 소니페룸) 앵속·약담배·아편꽃이라고도 한다. 지중해 연안 또는 소아시아가 원산지이다. 줄기는 털이 없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가 50∼15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3∼20cm의 긴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줄기를 반정도 감싸며 가장자리에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1개이다. 암술머리는 방사상으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이고 길이 4∼6cm의 둥근 달걀 모양이며 다 익으면 윗부분의 구멍에서 종자가 나온다. 꽃은 5∼6월에 흰색·붉은 색·자주색 등 여러 가지 빛깔로 피고 줄기 끝에 1개씩 위를 향해 달리며, 꽃봉오리 때는 밑으로 처진다... 더보기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