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잎과 줄기, 열매 206

땅두릅

독활 [ Manchurian angelica , 獨活 ] 쌍떡잎식물 산형목 두릅나무과 두릅나무속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Aralia cordata Thunb. var. continentalis (Kitag.) Y.C.Chu 아랄리아 코르다타 툰브. var. 콘티넨탈리스 (Kitag.) Y.C.Chu 땅두릅이라고도 한다. 유사한 발음 때문에 땃두릅이라 불리기도 하나 땃두릅나무와는 다른 종이다. 산에서 자란다. 높이는 1.5m이고 꽃을 제외한 전체에 털이 약간 있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50∼100cm, 나비 3∼20cm이며 홀수2회깃꼴겹잎으로서 어릴 때에는 연한 갈색 털이 있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잎..

봄나물

음나무 (Prickly castor oil tree ) 쌍떡잎식물 산형목 두릅나무과의 낙엽교목. 학명 : Kalopanax septemlobus (Thunb.) Koidz.  엄나무 또는 엄목(嚴木)이라고 한다. 지방에 따라서는 개두릅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다.  높이 25m에 달하며, 가지는 굵고 밑이 퍼진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둥글며 가장자리가 5∼9개로 깊게 갈라진다. 갈래조각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잎보다 길다.  꽃은 8월초에 피고 황록색이며 복산형꽃차례[複傘形花序]에 달린다.  꽃잎과 수술은 5개씩이고 씨방은 하위(下位)이며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는 핵과로 둥글며 9-10월 중순에 검게 익는다.  나무껍질은 약용하며 뿌리와 어린잎은 식용한다.  농촌에서는 잡귀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

청나래고사리

청나래고사리 (셔틀콕 양치식물) 면마과의 다년초. 학명 : Matteuccia struthiopteris (마테우치아 스트루티오프테리스) 습기가 있는 숲속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묵은 잎자루의 기부로 싸여서 덩어리같이 생기고 잎이 무더기로 나와서 비스듬히 퍼진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가는 땅속줄기가 벋어서 끝에 새 잎이 달려 군총을 형성한다.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밑으로 내려가면서 점점 좁아진다. 잎조각은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긴 타원형이며 밝은 녹색이다. 포자엽(胞子葉)은 가을에 나오고 영양엽(營養葉)보다 짧으며 좁게 생겼고, 잎조각은 가장자리 뒤로 말려서 포자낭군(群)을 감싼다. 일본에서는 어린 순을 식용한다. 아시아 ·유럽 및 북아메리카 등지의 온대지방..

하늘타리

하늘타리 쌍떡잎식물 박목 박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학명 : Trichosanthes kirilowii (트리코산테스 키릴로위이) 하늘타리·과루등·하늘수박·천선지루라고도 한다. 산기슭 이하에서 자란다.  뿌리는 고구마같이 굵어지고 줄기는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감으면서 올라간다.  잎은 어긋나고 단풍잎처럼 5∼7개로 갈라지며 갈래조각에 톱니가 있고 밑은 심장밑 모양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2가화이며 흰색이다.  수꽃은 수상꽃차례로 달리고 암꽃은 1개씩 달린다.  꽃받침과 화관은 각각 5개로 갈라지고 화관갈래조각은 실처럼 다시 갈라진다.  수술은 3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7cm 정도이며 오렌지색으로 익고 종자는 다갈색을 띤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왕과근(王瓜根), 열매를 토과실(土..

고사리삼

고사리삼은 고사리삼과 고사리삼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양치식물이다. 식물체의 모습이 고사리와 삼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다른 이름으로는 꽃고사리라고도 한다.    고사리삼 양치식물 고사리삼목 고사리삼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Botrychium ternatum (보트리키움 테르나툼) 꽃고사리라고도 한다. 풀밭이나 숲 속의 양지바른 곳 또는 골짜기 냇가에서 자란다.  전체에 털이 없고 높이가 15∼40cm이다. 뿌리는 굵고 육질이며 사방으로 퍼지고 1개의 줄기가 나와 곧게 선다.  줄기의 밑 부분에서 영양엽과 포자엽이 각각 1개씩 갈라진다.   영양엽은 긴 자루가 있고 잎몸은 3∼4회 깊게 깃꼴로 갈라져 전체 모양이 삼각형 또는 오각형이며  길이가 5∼10cm, 폭이 5∼20cm이고 가장자리에 ..

은테줄사철나무

줄사철나무 노박덩굴과 사철나무속에 속하는 상록 활엽 포복관목 또는 만경목. 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Rehder (에우오니무스 포티니 라디칸스 레더) 줄사철나무라는 이름은 사철나무와 닮은 모양이지만 줄기에 뿌리가 내리고 덩굴처럼 자라기 때문에 앞에 ‘줄’이라는 접두어가 붙어 덩굴성 사철나무라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 줄기는 덩굴성으로 줄기에서 많은 뿌리가 나와 바위나 나무 위를 기어올라 흡착하여 뻗어 나간다. 작은 가지는 녹색으로 약간 각이 지며 뚜렷하지 않는 돌기상 나무껍질눈이 있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    은테줄사철나무                촬영일 : 2024년 08월 24일 (토요일)

두릅

봄나물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다면 야생식물을 함부로 채취하지 않는것이 좋다. 잘 모르는 초심자라면 반드시 결험이 많은 사람과 동행하는것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을것 같다. 식용이 가능한 봄나물 중에서도 두릅이나 다래순, 고사리 등은 소량의 독성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끓는물에데쳐서 독성분을 제거한 후 섭취해야 한다. 특히 봄에 새로 돋아나는 어린 싹들은 대부분 약간의 쓴맛을 가지고 있는데, 약한 쓴 맛은 열을 내리고, 나른해지고 무거운것을 치료하며, 입맛을 돋구는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 물가가 엄청 올라가 있다는 사실 뉴스를 보지 않아도 시장 주변만 돌아봐도 실감할 수가 있었다. 두릅 몇 줄기 담아놓으면 오천원 아니면 일만원이다. 육류 보다 산나물 종류를 좋아하는 내가 야생화 탐사겸 ..

돌나물(石上菜)

돌나물(石上菜) 쌍떡잎식물 범의귀목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Sedum sarmentosum ( 산에서 자란다. 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각 마디에서 뿌리가 나온다. 꽃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는 15cm 정도이다. 잎은 보통 3개씩 돌려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긴 타원형 또는 바소꼴이다. 잎 양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황색으로 8∼9월에 피며 취산꽃차례를 줄기 끝에 이루고 지름 6∼10mm 이다. 5개의 꽃잎은 바소꼴로 끝이 뾰족하고 꽃받침보다 길다. 꽃받침조각은 5개인데 타원상 바소꼴로 끝이 뭉뚝하다. 수술은 10개이며 꽃잎과 거의 같은 길이이다. 열매는 골돌과(利咨果)이고 5개의 심피(心皮)가 있다. 줄기를 잘라 땅에 꽂아 두면 잘 자란다. 어린 줄기와 잎은 김치를 담가 먹는데 향미가..

참여로

참여로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Veratrum nigrum var. ussuriense(베라트럼 니그룸 바.우스리엔스) 큰여로·왕여로라고도 한다. 산지의 나무 아래에서 자란다. 높이 1∼1.5m이다. 굵은 수염뿌리가 있으며 뿌리줄기는 짧다. 밑동에는 묵은잎이 그물처럼 생긴 섬유로 싸인다. 잎은 줄기 아랫부분에 어긋나는데, 아랫잎은 타원 모양이거나 넓은 타원 모양으로서 길이 약 40cm, 나비 약 10cm이다. 끝은 뾰족하며 밑은 좁아져서 잎집으로 연결되고 잎집은 줄기를 감싼다. 잎은 위쪽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꽃은 7∼8월에 짙은 자줏빛으로 피는데, 지름 약 1cm의 꽃이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화피갈래조각은 6장이고 긴 타원 모양이며 끝이 뭉툭하다. 바깥조각의 뒷면에는 흰 털이..

청나래고사리

청나래고사리 (Shuttlecock fern) 면마과의 다년초. 학명 : Matteuccia struthiopteris(마테우키아 스트루티오페리스) 습기가 있는 숲속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묵은 잎자루의 기부로 싸여서 덩어리같이 생기고 잎이 무더기로 나와서 비스듬히 퍼진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가는 땅속줄기가 벋어서 끝에 새 잎이 달려 군총을 형성한다. 잎몸은 1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밑으로 내려가면서 점점 좁아진다. 잎조각은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긴 타원형이며 밝은 녹색이다. 포자엽(胞子葉)은 가을에 나오고 영양엽(營養葉)보다 짧으며 좁게 생겼고, 잎조각은 가장자리 뒤로 말려서 포자낭군(群)을 감싼다. 일본에서는 어린 순을 식용한다. 아시아 ·유럽 및 북아메리카 등지의 온대지방에 분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