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340

참골무꽃

참골무꽃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Scutellaria strigillosa (스쿠텔라리아 스트리길로사)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고,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가 10∼40cm이고 단면이 네모나며 밑 부분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지고 모가 난 줄에 위를 향한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1.5∼3.5cm의 타원 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이며 끝이 둔하고 밑 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자줏빛으로 피고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한쪽 방향을 향해 1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길이가 3∼4mm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윗부분 표면에 부속체가 있다. 화관은 통 모양이고 길이가 2cm이며, 수술은 4개이고 그 중에 2개가 길..

그룹명/야생화 2025.06.06

모래지치

모래지치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지치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Argusia sibirica (L.) Dandy (아르구시아 시비리카 (L.) 댄디) 바닷가의 모래땅에서 자란다.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가 비스듬히 퍼지고 잎이 밀생하며 흰 털이 있어 녹백색으로 보인다. 잎은 어긋나고 주걱형 또는 긴 타원상 바소꼴로 두꺼우며 눈털이 있다. 꽃은 8월에 피고 취산꽃차례[聚揀花序]에 달리며 백색이다. 꽃받침과 꽃잎은 각각 5개로 갈라지고 씨방은 4실이며 갈라지지 않고 수술은 5개이다. 열매는 핵과이며 4개의 둔한 능선이 있다. 겉으로 보기에는 지치같이 생겼으나 모래땅에서 자라기 때문에 모래지치라고 한다. 한국(충북제외) ·아시아와 유럽 온대에서 난대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 ..

그룹명/야생화 2025.06.06

개꽃아재비

개꽃아재비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학명 : Anthemis cotula (안테미스 코툴라) 개꽃과 닮았다는 뜻의 이름이다. 원산지가 유라시아와 북아프리카인 외래식물이며, 한해살이풀이다. 높이는 20~40㎝이다. 1976년에 전의식이 서울 한강 둔치에서 처음 발견해 보고하였다. 만져보면 전체에서 특유의 좋지 않은 향기가 묻어난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는 3~5㎝, 폭은 2~3㎝이고 1~3회 깃꼴로 깊게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선형이고 폭은 0.5~0.8㎝이며, 뒤로 말리기도 한다. 꽃은 6~9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 흰색으로 피며, 두상꽃차례를 이룬다. 두상꽃차례는 지름이 1.5~2.5㎝이며, 주변부의 혀모양꽃은 중성꽃이고 중앙부의 관모양꽃은 양성꽃이다...

그룹명/야생화 2025.06.04

섬초롱꽃

섬초롱꽃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Campanula takesimana (캄파눌라 타케시마나) 바닷가 풀밭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30∼90cm이다. 흔히 자줏빛이 돌고 능선이 있으며 비교적 털이 적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달걀모양의 심장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형이며 잎자루가 점점 짧아지다가 없어진다. 꽃은 8월에 피고 연한 자줏빛 바탕에 짙은 점이 있으며 길이 3∼5 cm로서 가지와 원줄기 끝에서 밑을 향하여 총상으로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갈래조각 사이에 뒤로 젖혀지는 부속체가 있다. 열매는 삭과이다. 한국특산종으로 울릉도에서 자란다. 기본종과 같이 자라며, 흰색 바탕에 짙은 반점이 있는 것을 흰섬초롱..

그룹명/야생화 2025.06.04

갯까치수염

갯까치수염 쌍떡잎식물 앵초목 앵초과의 두해살이풀. 학명 : Lysimachia mauritiana (리시마키아 마우리티아나)갯까치수염·갯좁쌀풀·해변진주초라고도 한다. 바닷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밑에서 가지를 치며, 높이 10∼4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육질(肉質)이며 주걱 모양의 거꾸로 세운 바소 모양이다. 잎의 길이는 2∼5cm, 나비는 1∼2cm로 끝이 둥글고 밑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검은색의 내선점(內腺點)이 있다. 7∼8월에 흰색 꽃이 피고 총상꽃차례로 꼭대기에 달리며, 작은꽃자루는 비스듬히 퍼지고 포보다 짧거나 같다. 꽃잎은 넓은 바소꼴이고 끝이 둔하며 뒷면에 검은 점이 약간 있다. 화관은 끝이 5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진다. 열매는 삭과로서 둥글고 끝에 작은 구멍이 ..

그룹명/야생화 2025.06.04

땅채송화

땅채송화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Sedum oryzifolium (세덤 오리지폴륨) 갯채송화 또는 각시기린초라고도 한다. 바닷가의 바위 겉에서 자란다. 높이는 10cm 정도이며 모여산다. 줄기는 옆으로 뻗어 많은 가지를 내며 원줄기 윗부분과 가지가 모여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고 원뿔형의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타원형으로 끝이 뭉뚝하며, 잎자루는 없다. 꽃은 노란색으로 6∼7월에 피며, 꽃이삭은 흔히 3개로 갈라진다. 꽃잎은 5개이고 넓은 바소꼴로 끝이 날카로우며 뾰족하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며, 수술은 10개이고 꽃잎보다 짧다. 10월에 열매를 맺는다. 관상용, 약용으로 쓰이며 어린 순은 먹기도 한다. 한국(제주·경남·울릉..

그룹명/야생화 2025.06.04

카페 동끝

프로야구 전설 양준혁이 카페 사장님으로 변신했다. 양준혁은 지난 4월 29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경북 포항시 구룡포읍에 '동끝 바다 낚시터&카페'를 열었다고 전했다. 상호명 '동끝'은 대한민국 최동단 마을이라는 것을 상징한다. 양준혁은 온통 파란색으로 뒤덮인 카페 인테리어를 소개하며 "내 몸에 푸른 피가 흐른다"고 적기도 했다. 양준혁은 "선수 시절처럼 다시 1루까지 전력 질주하듯 인생 2막을 뛰겠다"며 "이제 이곳에서 뼈를 묻을 각오로 살겠다"고 밝혔다. 그는 시설 설계와 인테리어까지 직접 챙기며 정성을 들였다고 알려진다. 낚시터와 결합한 양준혁의 카페에는 실외 낚시 체험장이 마련돼 있으며 갤러리까지 한 번에 즐길 수 있다. 양준혁은 KBO(한국야구위원회) 통산 타율 0.323,..

함박꽃나무

함박꽃나무 쌍떡잎식물 목련과의 낙엽소교목. 학명 : Magnolia sieboldii (마그놀리아 시볼디) 함백이꽃·옥란·천녀목란·천녀화라고도 한다. 산골짜기의 숲속에서 자란다. 높이 7m로 원줄기와 함께 옆에서 많은 줄기가 올라와 군생한다. 가지는 잿빛과 노란빛이 도는 갈색이며 어린 가지와 겨울눈에 눈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의 긴 타원형이다. 잎 끝이 급히 뾰족해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뒷면은 회색빛이 도는 녹색으로 맥 위에 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흰색의 양성(兩性)으로 피고 잎이 난 다음 밑을 향하여 달리며 향기가 있다. 꽃은 지름 7∼10cm로서 꽃잎은 6∼9개이고 수술은 붉은빛이 돌며 꽃밥은 밝은 홍색이다. 열매는 타원형 골돌과로 길이 3∼4cm로 9월..

돌나물

돌나물(石上菜) 쌍떡잎식물 범의귀목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Sedum sarmentosum (세덤 사르멘토섬) 산에서 자란다. 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각 마디에서 뿌리가 나온다. 꽃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는 15cm 정도이다. 잎은 보통 3개씩 돌려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긴 타원형 또는 바소꼴이다. 잎 양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황색으로 5∼6월에 피며 취산꽃차례를 줄기 끝에 이루고 지름 6∼10mm이다. 5개의 꽃잎은 바소꼴로 끝이 뾰족하고 꽃받침보다 길다. 꽃받침조각은 5개인데 타원상 바소꼴로 끝이 뭉뚝하다. 수술은 10개이며 꽃잎과 거의 같은 길이이다. 열매는 골돌과(利咨果)이고 5개의 심피(心皮)가 있다. 줄기를 잘라 땅에 꽂아 두면 잘 자란다. 어린 줄기와..

그룹명/야생화 2025.06.01

참나물

참나물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학명 : Pimpinella brachycarpa (핌피넬라 브라키카르파)참나물(Pimpinella brachycarpa, 영어: chamnamul 또는 short-fruit pimpinella)은 한국·중국·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50-80cm 정도이다. 전체에 털이 없고 향기가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뿌리에서 난 잎은 잎자루가 길고 줄기에서 난 잎은 잎자루가 짧다. 잎집이 다소 줄기를 싸고 3출한다. 작은 잎은 측편이 2개로 갈라진 것도 있고, 달걀꼴이거나 넓은 달걀꼴이고 긑이 뾰족하며 고르지 않은 톱니가 있다. 꽃은 복산형꽃차례로서 흰색이며 6-8월에 피는데, 가지 끝에 달린다. 소산경은 13-14개이다. 총포는 없고,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