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345

도깨비가지 도깨비가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가지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Solanum carolinense (솔라눔 카롤리넨세) 강둑이나 빈터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를 치고, 높이 50-100cm, 별모양털과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길이 8-15cm, 폭 4-8cm, 끝은 뾰족하고, 밑은 주걱 모양이다. 잎 양면에 별모양털이 있으며, 뒷면 주맥 위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잎자루에도 가시가 있다. 꽃은 6-10월에 피며, 줄기 옆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3-10개가 달린다. 화관은 5갈래로 갈라지며, 흰색 또는 연한 보라색이다. 열매는 장과, 둥글며, 주황색으로 익는다. 북미 원산의 귀화식물로 우리나라 전역에 자란다. 아시아와 유럽에 .. 2025. 6. 21.
갯씀바귀 갯씀바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Ixeris repens (익세리스 레펜스) 바닷가의 모래땅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자라면서 가지를 치고 잎이 달린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땅속에서 나온다. 잎 모양은 심장 모양으로 두껍고 손바닥 모양으로 3∼5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다시 2∼3갈래로 얕게 갈라지거나 희미한 톱니가 있다. 6∼7월에 꽃자루가 뿌리잎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며 높이가 3∼15cm 정도까지 자란다. 가지가 갈라져서 2∼5개의 노란 꽃이 달린다. 잎이 없으나 가장 밑에 있는 포가 잎처럼 생겼으며 두화(頭花)는 지름이 3cm 정도이다. 총포는 길이 11∼14mm이며 안쪽 포는 6∼8개이다. 열매는 수과로서 5mm 정도이고 관모.. 2025. 6. 21.
남가새 남가새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쥐손이풀목 남가새과의 한해살이풀. 학명 : Tribulus terrestris (트리불루스 테레스트리스) 바닷가의 모래밭에서 자란다. 전체에 털이 있고 줄기는 밑동에서부터 가지를 치며 기거나 비스듬히 눕는다. 길이는 1m 정도이다. 잎은 마주나고 짝수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4∼8쌍이고 긴 타원형으로 양쪽이 같지 않으며 길이 1cm 정도이고 턱잎은 서로 떨어져 있다. 6월에 노란색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짧은 대 끝에 1개씩 핀다. 꽃받침잎은 5개로서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복모(伏毛)가 빽빽이 나고 꽃이 핀 다음 떨어진다. 꽃잎은 꽃받침보다 약간 길고 5개이다. 수술은 10개이고 씨방은 1개이며 털이 많다. 열매는 5개로 갈라지고 각 조각에.. 2025. 6. 21.
부채선인장 부채선인장 선인장목 선인장과에 속하는 선인장의 한 무리. 학명 : Opuntia (오푼티아)줄기가 납작한 부채 모양을 여러 개 이어 붙인 것처럼 생겨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손바닥선인장이라고도 불리며, 제주도에서 자생하기도 하는데 백년초라고도 한다. 줄기는 일반적인 선인장처럼 다육질로서 몇 군데가 마디처럼 잘록하며 이것을 경절(莖節)이라고 한다. 경절은 원통 모양, 공 모양, 타원 모양 등 그 모양이 여러 가지이며, 그 모양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이 경절에 헛물관이 있으며 표피 가까이에 관다발이 있다. 새순에 달리는 잎은 바늘처럼 생겼으며 육질로서 완전히 자란 다음에 떨어진다. 떡잎은 바소(한방에서, 곪은 데를 째는 데 쓰는 날이 있는 기구)꼴 또는 삼각형이며 같은 육질로서 화피와 포(변형된.. 2025. 6. 17.
난쟁이아욱 난쟁이아욱 쌍떡잎식물 아욱목 아욱과의 두해살이풀. 학명 : Malva neglecta (말바 네게카) 유럽 및 서아시아 원산의 두해살이풀로, 줄기는 길이가 50cm까지 자란다. 줄기의 아래쪽은 땅위를 기며 마디에서 잔뿌리를 내리고 위쪽은 비스듬히 솟아오른다. 원뿌리 쪽에서 줄기가 갈라지고 전체적으로 털이 드문드문 난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잎자루는 가늘다. 잎의 길이는 3~8cm이고, 잎몸은 원형으로 지름 2~3.5cm이다. 잎몸의 가장자리는 둥근 결각이 5~9개 있으며 잎밑이 심장 모양이다. 턱잎은 뾰족한 달걀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은 5~9월에 3~6개가 잎겨드랑이에서 뭉쳐 원뿔모양꽃차례로 나며, 자주빛 또는 분홍빛을 띠는 흰색으로 지름이 1~1.5cm이다. 꽃자루는 4~10m.. 2025. 6. 17.
귀비고 貴妃庫 귀비고 신라 아달라왕(阿達羅王) 때 연오랑(延烏郞)의 아내로서 일본에 건너 가서 귀비가 된 세오녀(細烏女)가 짜 보낸 비단을 넣어 두던 창고. 연오랑세오녀테마공원 전시관 귀비고는 포항 지역의 특화된 스토리텔링 문화공간을 지향하며, 장소의 역사성과 미학적 특성을 반영한 특별기획전, 문화예술 체험프로그램, 지역특화 프로그램 등을 운영한다. 전시실 및 영상관, 교육·체험프로그램을 위한 라운지 공간 등이 조성되어 있으며, 애니메이션, VR체험, 미디어체험 등 다양한 기법으로 연오랑세오녀를 만나볼 수 있는 관람객 중심의 전시관이다. 촬영일 : 2025년 06월 14일 토요일 오후 2025. 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