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문화유적유물산책

불령봉표석(佛領封標石)

도랑도랑 2014. 9. 21. 20:28

 

 

경주불령봉표석(慶州佛領封標石)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에 있는 조선시대 봉표석(封標石).

경주시 양북면 호암리 불령고개에 있다. 가로 1.2m, 세로 1.5m의 화강석 바위 표면에 '연경묘향탄산인계하불령봉표(延慶墓香炭山因啓下佛嶺封標)'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1831년(순조 31) 10월에 새긴 것으로, 순조의 아들 익종(翼宗:1809~1830)을 모신 연경묘의 봉제사와 그에 따른 경비를 조달하는 산이니

일반인의 출입을 금지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  불령고개 주변은 조선 후기 고급 숯인 백탄(白炭)의 생산처로 알려져 있는데, 백탄을 만들기 위해선 나무가 많이

필요했으므로 벌채를 막기 위하여 봉표를 설치한 것으로 추정 된다고 한다. 

 

 

 

延慶墓 香炭山 因 啓下佛嶺封票

 

연경(延慶)은 조선조 23대 순조의 아들 효명세자의 묘호라고한다. 세자는 왕의 아낌을 받았으며 현군(賢君)의 자질을 갖추었으나 불행히 22세의 젊은 나이로

죽고 말았다. 그의 아들 헌종이 즉위히여 익종(翼宗)으로 추존되자 묘(墓)도 능(陵)으로 격상되었다고 하며, 헌종 이후는 풍양조씨, 안동김씨 등의 외척의 발호

(跋扈)로 왕권은 실추되고 조선왕조의 운명도 기울게 되었다고 하는데, 비문의 내용은 연경묘 관리에 필요한 제수(祭需) 등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일반인의

입산을 금지한다는 뜻이다. 이는 곧 목재용이나 숯을 굽는 나무의 벌채를 막기 위한 의도였으며, 연경묘 봉표는 감재(枾嶺)계곡 시령봉표(枾嶺封標)가 있고

그 곳 뿐만이 아닌 또 한곳에 불령봉표(佛領封標)가 있다는 것이었다. 내친김에 그 곳까지 찾아보기로 하고 들머리 찾아들고 보니 바로 "신문왕호국행차길"이라는

왕의길이 었다.

 

 

 

왕의 길에는 신라 56왕의 발자취는 물론 문무왕과 아들 신문왕, 순조와 아들 효명세자 등 신라와 조선시대의 애틋한 전설을 간직한 곳이기도 하다.
왕의 길은 월성에서 월지(안압지), 선덕여왕릉, 명활산성, 모차골, 함월산, 수렛재, 세수방, 용연폭포, 기림사, 감은사지, 이견대, 문무대왕 수중릉까지 연결되는

신라의 주 교통로이기도 했다고 한다. 이 가운데 기림사 - 용연폭포 - 불령봉표 코스는 서라벌 동쪽 바닷가 아진포 마을의 빈민이었던 석탈해가 신라로 잠입

했던 길이며, 문무왕의 장례길이자 신문왕이 옥대와 만파식적을 얻은 길이기도 하다.

 

감재(枾嶺)계곡의 시령봉표(枾嶺封標)를 돌아보고 나오니 점심시간 무렵이었다. 추령터널을 비껴서 구 도로를 오르니 고개마루 백년찻집 앞에는 여러대의 승용차

들이 줄지어 세워져 있고 그 곳을 지나쳐 내리막길 끝에서 처음 들어가본 길엔 자연부락인 모차골이란 곳이었다. 왕의길 2.1km라는 안내표지판 그 끝지점이 시작

점일것이란 것을 짐작 하면서 들어가 보니 추원사 앞이었고 그 지점 왕의길 표지판엔 1.7km를 표시해주고 있었지만 도로가 좁다는 생각으로 추원사 입구 넓은지점

한 쪽에 주차를 해두고 한참을 걸어들어가 보니 황룡약수터와 세곳의 펜션들이 길 아래 작은 개울을 사이에 두고 늘어서 있었다. 

 

 

 

 

왕의길 방향표지판의 거리를 참고해보면 모차골입구에서 황롱석불사까지 2.1km이며, 황룡석불사에서 수랫재까지는 1.4km, 수랫재에서 불령봉표까지가 1.6km

불령봉표에서 용연폭포 까지는 0.9km 해서 황롱석불사에서 황룡폭포까지는 편도 3.9km이다. 방향표지판의 거리표시가 잘못 표기되어있다. 1.7m가 아닌

1.7km이다. 내가 차를 세워두고 걷기 시작했던 지점 이곳이 추원사 입구였다. 초행길 차를 돌려 나올만한 공간이 없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으로 걸으며 어느 농가

앞 텃밭 가에 피어난 보기드문 꽃을 구경하기도 했지만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시기가 아니라면 황룡석불사까지는 자동차 몇 대 정도를 주차할 공간도 있다.

실제로 걸어본 거리는 1.7km를 더한 총연장 5.6km, 왕복 11.2km였던 것이다.

 

 

 

지도에 표시된 왕의길 시작점인 입구, 황룡석불사 지점의 이정표를 보니 수랫재 1.4km, 용연폭포까지는 3.9km인데, 어찌하여 관심거리였던 불령봉표(佛領封標)

보이질 않고 처음부터 이곳을 코스로 정했더라면 부담없이 3.9km를 단숨에 다녀올 수도 있으련만 이미 다녀온곳의 거리를 감안하고 오후로 접어든 시간대가

약간은 부담으로 작용하는데, 세시까지만 가다가 무조건 돌아 나온다는 생각으로 봉표석만 보고 돌아온다는 생각으로 수랫재까지 가보니 부담은 줄어들기 시작

했다.

 

 

 

 

 

 

 

 

모차골 왕의길 시작점에서 1.4km지점의 수랫재

 

죽어서도 동해의 용이 되어 신라를 지킨 문무왕의 장례길, 신문왕이 선왕을 추모하기 위해 대왕암으로 행차했던 역사의 길, 바로 '신문왕 호국 행차길'이다.
호국행차길은 충(忠)과 효(孝)의 이야기가 담긴 곳이다. 모차골은 행차길이 시작되는 골짜기로 과거 수많은 사람들과 수레들이 드나들던 골짜기란 뜻으로

마차골로 부르다가 점차 모차골로 바뀌었다고 한다. 길을 걷다보면 옛날 수레가 넘나다녔던 고개라는 의미의 '수렛재'를 건너 신문왕 일행이 손을 씻었다해서

불리는 세수방이란 냇가를 만날 수 있다.
또 '소명태자묘에 쓸 묵탄이 생산되는 산이니 임금의 명령 없이는 출입을 금한다'는 이야기가 담긴 '불령봉표'라는 비석과 용이 승천했다는 전설이 숨은 용연폭포도 구경할 수 있다.  삼국유사 기록에 신문왕이 '동해에서 용으로 변한 선왕으로부터 만파식적을 얻어 궁궐로 돌아가다가 잠시 쉬어갔다'고 전해지는 유서깊은

천년사찰 '기림사'도 들러봐야 할 곳이다.

 

 

 

 

 

 

 

 

 

 

 

 

 

 

 

 

 

 

 

전해오는 이야기 용연폭포(龍淵瀑布)

신라시대 신문왕 때(682년) 어느날 동해바다에서 감은사 앞으로 섬이 떠내려오면서 두 개로 갈라졌다 합했다 했다. 왕이 그 섬에 올라 용과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용은 신문왕에게 흑옥대를 바치고 섬의 대나무로 피리를 만들면 국가의 안녕을 보존할 수 있다고 했다. 왕이 그 말을 따라 만파식적 피리를 만들었다.


당시 문무왕릉에서 동북쪽으로 10km 떨어진 곳에 소용돌이치는 소가 있고 여기 큰 바위섬이 있다가 지금은 가라앉았다고 하는 그곳 감포 앞바다에는 원래 섬이

12개 있었다고 한다. 그 많은 섬들이 지금은 보이지 않고 대왕암이라는 바위만 남아 있다.


신문왕 일행은 기림사 뒤 함월산으로 해서 월성으로 돌아간다. 이때 왕의 수레는 기림사 서편 시냇가에서 잠시 쉬어갔다. 대궐에 있던 태자 이공(후일의 효소왕)이 옥대와 만파식적 보물을 가지고 돌아오는 신문왕을 맞으러 서라벌에서 말을 달려 이곳으로 왔다. 그리고 용의 비늘로 된 옥대의 띠판을 하나 끌러 물에 담갔다.

그랬더니 띠판에 새겨진 용이 살아나 물보라를 일으키며 하늘로 올라갔다.


이후 백성들은 이 이야기를 아름답게 새기고 기림폭포아래 용연(龍淵)을 아꼈다. 통일신라의 전후세대들은 전쟁을 예술의 경지로 변화시켜 칼 대신 만파식적이라는 피리의 이야기를 만들어낸 것이다. 이렇게 역사적으로 보면 태자 이공이 등장하기 이른 때였지만 월성에서 태자같은 누군가 기쁘게 마중나왔을 것은 분명하다.

현재 경주박물관에는 오래된 옥피리가 보존되어 있다.

 

 

 

 

 

 

 

 

 

 

 

 

황룡석불사에서 출발 시각이 13:30분경 이었으며, 황룡폭포까지 3.9km를 사진 찍고 어정거리면서 다녀 나온 싯점이 17:00경 이었으니까 장장 세시간 삼십분이

소요된 셈이다. 들어갈때는 보지못했던 이 나무는 꽈배기처럼 꼬인 모습이 흥미로워 이것도 연리지라고 해야하나 하는 생각으로 위를 쳐다보니 뽕나무였다.

그냥 뽕나무였는지 아니면 산뽕나무였는지는 확인해 보지는 않았지만 난생 처음 이렇게 큰 뽕나무는 처음 보게된 것이었다.

 

뽕나무와 산뽕나무를 비교해보면 다음과같다.

 

뽕나무

작은 가지는 회색빛을 띤 갈색이거나 회색빛을 띤 흰색이고 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잎은 달걀 모양 원형 또는 긴 타원 모양 원형이며 3∼5개로 갈라

지고 길이 10cm정도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다. 잎자루와 더불어 뒷면 맥 위에 잔 털이 있다.

꽃은 2가화(二家花)로 수꽃이삭은 새가지 밑부분 잎겨드랑이에서 처지는 미상꽃차례에 달리고, 암꽃이삭은 길이 5∼10mm정도이다. 암술대는 거의 없고 암술

머리는 2개이다. 씨방은 털이 없고 열매는 6월에 검은색으로 익는다.

 

원산지는 온대, 아열대 지방이며 세계에 30여 종이 있는데 한국에는 산상(山桑:M. bombycis), 백상(白桑:M. alba), 노상(魯桑:M. lhou)의 3종이 재배되고 그 중에서

백상이 가장 많이 재배된다. 잎은 누에를 기르는 데 이용되며, 열매를 오디라고 하는데 술을 담그거나 날것으로 먹는다. 뿌리껍질은 한방에서 해열, 진해,

이뇨제, 소종에 쓰고 목재는 가구재로 이용한다.

 

산뽕나무
산지나 논밭둑에서 자라고, 나무껍질은 잿빛을 띤 갈색이며, 작은가지는 잔털이 나거나 없고 점차 검은빛을 띤 갈색이 된다.  잎은 달걀 모양이거나 넓은 달걀 모양

으로서 길이 8∼15cm정도, 나비 4∼8cm정도이다.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고, 뒷면 주맥(主脈) 위에 털이 약간 나며 끝이 꼬리처럼 길다.

턱잎은 일찍 떨어지고 잎자루에는 잔털이 나며 길이 5∼25mm정도이다.


꽃은 암수딴그루이거나 웅성화(雄性花)로서 수꽃이삭은 새가지 밑에서 아래로 처지고, 암꽃이삭은 녹색 타원형이며 꽃자루에 잔털이 나고 암술머리는 2개이다.

열매는 집합과로서 6월에 자줏빛을 띤 검은색으로 익으며, 육질(肉質)로 되는 화피가 합쳐져서 1개의 열매처럼 된다.

잎 끝이 길게 발달하는 것을 꼬리뽕(var. caudatifolia), 잎이 깃꼴로 갈라지는 것을 좁은잎뽕(for. dissecta), 잎이 5개 정도로 크게 갈라지는 것을 가새뽕(for. kase),
잎이 두껍고 윤이 나며 바닷가에서 자라는 것을 섬뽕(var. maritima), 한해살이의 줄기가 붉은 것을 붉은대산뽕(var. rubricaulis)이라고 한다.

 

                                                                                                                                   촬영일: 2014년 09월 20일(토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