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제187호 봉감모전오층석탑(鳳甘模塼五層石塔) 봉감모전오층석탑(鳳甘模塼五層石塔) 경상북도 영양군 입암면(立岩面) 산해동(山海洞)에 있는 5층 석탑. 1977년 8월 22일 국보 제187호로 지정되었다. 전체 탑높이 약 9m, 초층(初層) 탑신(塔身) 폭 3.34m, 높이 2.04m이다. 축조 연대는 미상이나 신라시대로 추정된다. 강가의 밭 가운데에 서 있는 .. 그룹명/문화유적유물산책 2013.05.13
경주 탈해왕릉 (慶州 脫解王陵)과 경주 표암(慶州瓢巖) 경주 탈해왕릉 (慶州 脫解王陵) 신라 탈해왕(재위 57∼80)의 무덤으로 소나무숲으로 둘러싸여 있다. ※(신라탈해왕릉 → 경주 탈해왕릉)으로 명칭이 변경 되었다.(2011.07.28 고시) 『삼국사기』에 의하면, 왜국 동북 1,000리 지점에 다파나국의 왕비가 알을 낳았는데 불길하다 하여 보물과 함.. 그룹명/문화유적유물산책 2013.05.11
경주 헌덕왕릉 (慶州 憲德王陵) 경주 헌덕왕릉 (慶州 憲德王陵) 경주 북천가에 있는 신라 제41대 헌덕왕(재위 809∼826)의 무덤이다. ※(신라헌덕왕릉 → 경주 헌덕왕릉)으로 명칭이 변경 되었다.(2011.07.28 고시) 헌덕왕의 본명은 김언승이며, 조카인 애장왕을 죽이고 왕이 되었다. 재위기간 동안에 농사를 권장하고 당나라.. 그룹명/문화유적유물산책 2013.05.11
사적 제30호 흥덕왕릉(慶州 興德王陵) 사적 제30호 흥덕왕릉(慶州 興德王陵) 경상북도(慶尙北道) 경주시(慶州市) 안강읍(安康邑) 육통리(六通里) 산42번지에 위치하며 사적 제30호로 지정된 신라 제42대 흥덕왕(興德王, 재위 826~836)의 능이다. 흥덕왕은 이름이 경휘(景徽)이고 헌덕왕(憲德王)의 친동생 장보고(張保皐)를 청해진 대.. 그룹명/문화유적유물산책 2013.04.29
의성빙산사지오층석탑(義城氷山寺址五層石塔) 의성빙산사지오층석탑(義城氷山寺址五層石塔)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에 있는 신라 말·고려 초의 석탑. 의성빙산사지오층석탑(義城氷山寺址五層石塔) 높이 8.15m. 보물 제327호. 단층기단 위에 모전석탑의 형식을 취하였으며, 규모가 작고 부분 적으로 생략되었으나 의성탑리오.. 그룹명/문화유적유물산책 2013.04.28
의성관덕동삼층석탑(義城觀德洞三層石塔) 의성관덕동삼층석탑(義城觀德洞三層石塔)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관덕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 보물 제188호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관덕리 높이 3.65m. 보물 제188호. 지대석(地臺石)은 너비 1.81m의 화강석 석탑이다. 2층기단 위에 건립된 일반형 3층석탑이면서, 석탑의 기단과 탑.. 그룹명/문화유적유물산책 2013.04.27
고운사석조석가여래좌상(孤雲寺石造釋迦如來坐像) 고운사석조석가여래좌상(孤雲寺石造釋迦如來坐像) 보물 제246호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 고운사 높이 79㎝. 보물 제246호. 대좌와 광배를 모두 갖추었고, 오른손 손목이 떨어져나갔을 뿐, 손상이 거의 없는 완전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머리는 육계(肉髻)의 표현이 불분명한 나.. 그룹명/문화유적유물산책 2013.04.27
고운사삼층석탑 (孤雲寺三層石塔) 고운사삼층석탑 (孤雲寺三層石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8호 소재지: 소 재 지 경북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 산221 고운사 대웅전 남쪽의 산 중턱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렸다. 아래층 기단에는 희미한 안상(眼象) 무늬가 보이고, 위층 기단에는 .. 그룹명/문화유적유물산책 2013.04.27
안동 대사동 모전석탑 모전석탑(模塼石塔)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서 전탑처럼 쌓아 올린 경우나, 일반 석탑처럼 결구 방식으로 만들었으나 지붕의 낙수면이 전탑처럼 계단식으로 되어 있는 탑을 말한다. 전탑(塼塔) 흙으로 구운 작은 벽돌을 촘촘히 쌓아 올린 벽돌탑을 말한다. 석탑(石塔) 석조탑파(石造塔.. 그룹명/문화유적유물산책 2013.04.27
고운사(孤雲寺) 고운사(孤雲寺)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 등운산(騰雲山)에 있는 절. 681년(신문왕 1)에 의상(義湘)이 창건하여 고운사(高雲寺)라 하였다. 그 후 최치원(崔致遠)이 승려 여지(如智)·여사(如事)와 함께 가운루(駕雲樓)와 우화루(羽化樓)를 건립하고 이를 기념하여 최치원의 자(字)를 따.. 그룹명/문화유적유물산책 2013.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