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운사(孤雲寺)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 등운산(騰雲山)에 있는 절.
681년(신문왕 1)에 의상(義湘)이 창건하여 고운사(高雲寺)라 하였다. 그 후 최치원(崔致遠)이 승려 여지(如智)·여사(如事)와
함께 가운루(駕雲樓)와 우화루(羽化樓)를 건립하고 이를 기념하여 최치원의 자(字)를 따서 고운사(孤雲寺)로 이름을 바꾸었다. 헌강왕 때는 도선(道詵)이 약사여래석불과 석탑을 안치하였고, 948년 운주(雲住)가 중창하였다.
고운사 호랑이 벽화
1018년(현종 9) 천우(天祐)가 대웅전·약사전·극락전·적묵당(寂默堂)·설선당(說禪堂)·동별실(東別室)·서별실(西別室)·관음전·
금당(金堂)·백련당(白蓮堂)·회운당(會雲堂)·청풍당(淸風堂)·문수전(文殊殿)·양로당(養老堂)·백련암(白蓮庵) 등을 중창하였다.
극락전에 봉안한 관음상은 천해(天海)가 꿈에서 본 것과 똑같은 불상을 송도 대흥산(大興山)에서 찾아내어 고운사로 옮겨
봉안한 것이라고 한다.
1482년(성종 13) 석가여래불상을 안동 갈라산(葛羅山) 낙타사(駱駝寺)에서 옮겨 와 대웅전에 봉안하였으며, 1646년(인조 24) 소영(昭影)의 사리탑을 건립하였다. 1668년 극성(克成)·승묵(勝默)·덕종(德宗) 등이 가운루를 중수하였고, 처순(處淳)이 천왕문(天王門)을, 설행(雪行)이 봉황문을 신축하였다.
1670년(현종 11) 숭해(崇海)·묘선(妙善)·성준(性峻)·인준(印峻) 등이 명부전을 신축하고 시왕상(十王像)을 조성하였으며,
종헌(宗憲)과 설휘(雪輝)는 영각(影閣)을 짓고 영정을 만들어서 봉안하였다. 1681년(숙종 7) 천왕문을 중수하였고,
1683년 관헌(灌憲)·인잠(印岑)·선초(善初)가 팔상전(八相殿)을 신축하였으며, 1686년 4월 명부전을 중창하였다.
고불전
1695년 도청(道淸)과 선조(禪照)가 극락전에 아미타불과 대세지보살상을 봉안하여 이전의 관음상과 함께 삼존불상을 구비
하였다. 행옥(幸玉)은 설선당을, 태운(泰運)은 적묵당을 중건하였고, 선특(禪特)과 성담(性談)은 동별실을, 성관(性觀)은 서별실을 중수하였다. 또, 태눌(泰訥)은 청풍당을 중건하였고, 승하(勝下)는 응향각(凝香閣)을, 의율(義律)과 의잠(義岑)은 백련당을
중수하였다.
고운사가운루(孤雲寺駕雲樓)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1호
등운산에 위치한 고운사는 신라 문무왕 원년(681)에 의상대사가 지은 절로서,신라의 최치원이 승려 여지, 여사대사 등과
함께 가운루·우화루를 세우고 이를 기념하여 그의 호를 따서 ‘고운사(孤雲寺)’라 이름을 바꾸었다.
그 후 운주와 천우스님이 2차례에 걸쳐 절을 확장하여 지었으며 임진왜란(1592) 때에는 사명대사가 승병의 기지로 사용
하기도 하였다.
1835년 화재로 소실되어 새로 지었으나 1970년대에 건물 일부가 다시 소실되었다.
고운사 가운루는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의 중층(中層) 누각이다. 내부의 구조물에서
조각솜씨가 다른 부재들이 함께 있는 것으로 보아 보수공사를 하며 부분적인 변형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신라(新羅) 문무왕(文武王) 원년(元年)(681) 의상대사(義湘大師)가 창건(創建)하고 고운사(高雲寺)라 이름
하였다가 신라 대유(大儒) 최치원(崔致遠)이 여지(如智)·여사대사(如事大師) 등과 함께 가운루(駕雲樓),
우화루(羽化樓)를 건립하여 그의 호(號)를 따서 고운사(高雲寺)라 개칭하였다 한다. 고려(高麗) 정종(正宗)
3년(948), 현종(顯宗) 9년(1018) 중창(重創)이 있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1592) 때에는 사명대사(四溟大師)가
승병(僧兵)의 기지(基地)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조선(朝鮮) 헌종(憲宗) 원년(1835) 소실(燒失)되어 만송(晩松)·
호암(虎巖)·수열대사(守悅大師) 등이 중창하였으나 1970년대에 건물 일부가 소실되었다. 가운루는 기둥 위에
초익공계(初翼工系)의 공포(包)를 두고 팔작지붕으로 꾸민 중층(中層)의 누각(樓閣)으로 내부(內部) 가구(架構)에서
조각솜씨가 다른 부재(部材)들이 상존(相存)하고 있어 보수시(補修時) 부분적인 변형(變形)이 있었던 것을 추측하게 한다.
1724년(영조 즉위년) 법존(法存)·지훈(智勳) 등이 운수암(雲水庵)을 창건하였고, 1729년 신유한(申維翰)이 사적비를 세웠다.
1744년 어첩봉안각(御帖奉安閣)을 건립하였으며, 1797년 의암(義巖)이 백련암을 중창하였다.
1803년(순조 3) 4월 적묵당과 서별실이 화재로 불타 없어지자 1804년 2월 문찰(文察)이 중건하였고,
1812년 의암이 운수암을 중건하였다.
1724년(영조 즉위년) 법존(法存)·지훈(智勳) 등이 운수암(雲水庵)을 창건하였고,
1729년 신유한(申維翰)이 사적비를 세웠다. 1744년 어첩봉안각(御帖奉安閣)을 건립하였으며,
1797년 의암(義巖)이 백련암을 중창하였다. 1803년(순조 3) 4월 적묵당과 서별실이 화재로 불타 없어지자
1804년 2월 문찰(文察)이 중건하였고, 1812년 의암이 운수암을 중건하였다.
1835년(헌종 1) 2월 백련당·금당·관음전·군포고(軍布庫)·직사고(直舍庫)·영전 등이 화재로 모두 불타 없어지자,
나라에서 홍종호(洪鍾浩)에게 명하여 만송(晩松)·호암(虎巖)·수열(守悅) 등과 함께 대웅전과 금당을 중건하게 하였다.
같은 해 12월 운수암이 불타 없어지자 1838년 함홍(涵弘)이 중건하였고, 1868년 눌암(訥庵) 등이 만성제(晩惺齊)를,
해송(海松)이 우의당(禹儀堂)을 건립하였다.
1899년 포운(抱雲)·혜은(惠隱) 등이 가운루·우화루·동별실·적묵당·연지암(蓮池庵)·천왕문을 중수하였고,
1901년 만선(滿船)과 추산(悉山)이 운수암의 해운루(海雲樓)를, 1902년 연수전(延壽殿)을 건립하였으며,
1904년 포운 등은 금당을 중수하였다.
고운사 약사전과 석조석가 여래좌상
1906년 안동·예안·의성·지례·선산·금산·용궁·비안·군위·의흥·청송·진보·순흥·봉화·영천군 등에 있는 사찰에 대한 관리를 종무원(宗務院)에서 부여받았다. 1912년 30본산(本山)의 하나가 되었으며, 1913년 2월 사찰령(寺刹令)에 의하여 고운사 본말사법(本末寺法)이 시행되면서 경상북도 내의 46개 사찰을 말사로 관장하였다.
고운사 삼성각
1924년 주지 만우(萬愚)가 약사전을 중수하고 대정암(大定庵)을 창건하였으며, 1935년 주지 영호(泳鎬)가 대웅전을 중수하고 가운교(駕雲橋)를 만들었다. 1936년 명부전과 선열암을 중수하고 천왕문을 옮겨지었다. 또한, 1934년에는 불교전문강원을
개설하였고, 안동 포교당·와룡 포교당·의흥 포교당 등을 두었다.
고운사연수전(孤雲寺延壽殿)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44호
신라 신문왕 원년(681년)에 의상조사가 창건한 고운사(孤雲寺)에 있는 불전이다. 1774년(영조 20년) 왕실의 계보를 적은
어첩(御牒)을 봉안하기 위해 건립되었고, 1887년 극락전 등 다른 전각들과 함께 중수되었다. 건물의 평면은 사찰의 일반적인
전각 모습과는 확연히 다른 형태이다. 사찰 내에 자리한 왕실 관련 건물이라는 점도 특이하다. 2003년 8월, 경상북도문화재
자료 제444호로 지정되었다.
고운사가운루(孤雲寺駕雲樓) 하부
고운사 호랑이 벽화
천년고찰 도량인 孤雲寺에는 특별한 호랑이 벽화가 있다고 했다. 우화루 외벽의 호랑이 벽화
보는이의 위치를 달리해 이동하면 마치 살아 움직이는 것처럼 호랑이 깃털(갈기) 모양이 달라보이고,
호랑이 눈동자 또한 보는 사람을 따라다니면서 응시하고 있는 듯 하다고 해서 유명해진 벽화라고 한다.
임진왜란때 사명대사가 승군의 전방기지로 식량을 비축하고 부상한 승병의 뒷바라지를 하던 사찰이기도 했다.
또한 고운사를 위해 많은 공적을 남긴 수월선사[水月禪思]는 살아있을 때 사리[舍利]가 64개나 나왔다고 한다.
석학[碩學]으로 너무나 이름높은 함홍대사[函弘大師]가 고운사에 있었기 때문에 이곳에 와서 글하는 체 하지
말라는 속설[俗說]이 있을 정도로 불도와 학문의 본원지라 할 만큼 유명한 곳으로, 일제시대 당시엔 수준높은
한시[漢詩]들이 우화루와 가운루 등에 걸려 있었다고 한다.
경내 등운교 좌측에 두 개의 비각이 있다. 옥개형[屋蓋形] 지붕이 있는 것은1879년 조성한 함홍당 대선사를
기리는 비각이다. 그 우측에 나란히 있는 비는 수월대선사를 기리는 비[水月大禪師碑]이라고 한다.
촬영일: 2013년 4월 21일
'그룹명 > 문화유적유물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운사삼층석탑 (孤雲寺三層石塔) (0) | 2013.04.27 |
---|---|
안동 대사동 모전석탑 (0) | 2013.04.27 |
늠비봉오층석탑과 부흥사 (0) | 2013.04.15 |
윤을곡마애불좌상.포석곡제5사지마애여래좌상 (0) | 2013.04.15 |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 (慶州 南山 茸長寺谷 三層石塔) (0) | 2013.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