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룹명/동물.곤충.이끼와 지의류

청둥오리 청둥오리 기러기목 오리과의 조류. 학명 : Anas platyrhynchos (아나스 플라티린초스) 몸길이는 수컷이 약 60cm, 암컷이 약 52cm이다. 수컷은 머리와 목이 광택있는 짙은 녹색이고 흰색의 가는 목테가 있다. 윗가슴은 짙은 갈색이다. 꽁지깃은 흰색이지만 가운데꽁지깃만은 검정색이며 위로 말려 올라갔다. 부리는 노란색이다. 암컷은 갈색으로 얼룩진다. 집오리의 원종이며, 한국에서는 가장 흔한 겨울새이자 대표적인 사냥용 새이기도 하다. 만·호수·못·간척지·하천·해안·농경지·개울 등지에서 겨울을 나는데, 낮에는 만이나 호수·해안 등 앞이 트인 곳에서 먹이를 찾고 저녁이 되면 논이나 습지로 이동하여 아침까지 머문다. 하늘에서는 V자 모양을 이루고 난다. 4월 하순에서 7월 상순까지 한배에 6∼12개.. 더보기
동양달팽이 동양달팽이 병안목(柄眼目) 달팽이과의 연체동물. 학명 : Nesiohelix samarangae (네시오헬릭스 사마랑과) 우리나라의 육지 달팽이류 중 가장 큰 종으로 껍데기 높이 34mm, 지름 50mm정도이다. 껍데기는 낮은 원뿔형으로 매우 두껍고 거칠며 불규칙한 성장벽맥(成長襞脈)과 사상나맥(絲狀螺脈)이 교차하고 있다. 나층은 5.5층이며, 가두리 위아래에 2줄의 색띠가 있다. 배꼽구멍은 깊고 크며, 껍데기 주둥이는 넓고 끝이 두꺼워져서 뒤로 말려 있다. 그러나 어린 달팽이의 경우에는 껍데기 주둥이가 날카롭다. 껍데기 표면은 황갈색이고 알은 회백색이다. 산 속의 그늘진 곳에 서식하는데, 바위나 낙엽이 많거나 돌 무더기가 있는 곳에서 볼 수 있다. 죽어서 오래된 껍데기는 탈색으로 인해 회백색이 된다. .. 더보기
자라 자라 거북목 자라과에 속하는 파충류. 학명 : Trionyx sinensis (트리오닉스 시넨시스) 전 세계에 7속 25종이 있으나 한국에는 1종만 분포한다. 일본자라(T. sinensis japonicus)는 중국자라(T. sinensis sinensis)의 아종으로 분류된다. 한자로 별(鼈)이라표기하며 단어(團魚)·왕팔(王八)·각어(脚魚)라고도 하였다. 등딱지의길이는 15∼17cm이다. 등딱지와 배딱지는 인대(靭帶) 조직에 의해 붙어 있으며, 배딱지는약간 굴곡져 있다. 머리와 목을 딱지 속으로 완전히 집어 넣을 수 있다. 주둥이 끝은가늘게 튀어나왔고, 아래입술과 윗입술은 육질로 되어 있다. 네 다리는 크고 짧으며발가락 사이에 물갈퀴가 있는데, 알을 낳을 때를 빼고는 거의 물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물.. 더보기
이름 모를 새 촬영일 : 2020년 04월 30일 (목요일) 부처님오신날 ~ 더보기
구름버섯 구름버섯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 학명 : Coriolus versicolor (코리올러스 베르시콜로르) 봄부터 가을에 걸쳐 활엽수의 썩은 줄기나 가지 위에서 무리를 지어 자란다. 자실체는 착생이거나 반착생 또는 겹으로 뭉쳐나며 여럿이 무리지어 자라난다. 버섯 갓의 크기와 모.. 더보기
고사리 고사리 학명 :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프테리듐 아퀼리눔 바 라티우스쿨룸) 양치류(fern)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 산에서 나는 소고기 라고 불릴 만큼 풍부한 영양소를 함유한 고사리는 대표적인 산나물로, 봄철에 꺾어 데친 후 말려서 사계절 내내 요긴하게 사용되는 식재료이기도 하.. 더보기
부채괴불이끼 부채괴불이끼 / 학명 : Gonocormus minutus 고사리목 처녀이끼과의 작은 상록성 양치식물. 그늘진 습한 바위 겉이나 나무 밑동에 붙어서 자란다. 가는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검은빛을 띤 갈색 잔 털로 덮여 있다. 지름 1cm 정도의 잎이 드문드문 나온다. 잎자루는 길이 1∼2cm로 윗부분은 연.. 더보기
이끼모음 지난 3월 30일 난 생 처음 만나보게 되었던 구슬이끼 3주가 지난 싯점 다시 찾아볼 수가 있는 기회가 있었다. 그 때 만났던 구슬이끼와 털깃털이끼의 모습들...... 구슬이끼과의 선태식물. 학명 : Bartramia pomiformis 포자낭이 구슬처럼 둥글고 윤기가 있어 지어진 이름이다. 줄기는 곧거나비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