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자
쌍떡잎식물 힙판화군 초롱꽃목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Asyneuma japonicum (아시네우마 자포니쿰)
산골짜기 낮은 지대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50∼100cm이고 능선과 더불어 다소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밑에서는 자루가 있으며 긴 달걀 모양으로서 양 끝이 좁고 표면에는 털이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7∼9월에 피고 보라색이며 잎겨드랑이에 총상으로 달린다.
꽃잎은 깊게 5개로 갈라져서 젖혀지며 갈래꽃같이 보인다.
수술은 5개이고 수술대에 털이 있으며 암술은 1개이고 길이 1∼1.2cm로서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殼果)로 납작한 공 모양이고 세로 맥이 뚜렷하다.
이른 봄에 어린 순을 나물로 먹는다. 한국 ·일본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 동부에 분포한다.
층층이꽃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클리노포듐 치넨스 파비플로룸)
산지나 들의 양지쪽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 15∼40cm이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줄기 전체에 털이 있으며 원줄기는 네모지고 곧추선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으로 길며 길이 3∼5cm로 끝이 그리 뾰족하지 않고
밑이 둥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2cm 내외이다.
꽃은 분홍색으로 7∼8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 모여서 층층으로 피므로 층층이꽃이라고 한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붉은빛이 돌며 길이 6~8mm로 털이 있다. 화관은 홍자색이고 입술 모양이다.
하순은 크고 3개로 갈라지며 안쪽에 붉은색 점이 있다.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둥글고 약간 편평하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는 옴약으로 쓴다.
방향성 식물이다. 한국 ·일본에 분포한다.
전체가 녹색이고 꽃이 흰색이며 꽃받침에 선모(腺毛)가 있는 것을 산층층이(var. shibetchense)라고 한다.
파리풀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파리풀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프리마 렙토스타키아 바 아시아티카)
산과 들의 약간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높이 50∼70cm이다.
포기 전체에 털이 나며 줄기가 곧게 서고 줄기의 마디 바로 윗부분이 특히 굵어진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 7∼9cm, 너비 4∼7cm로 잎자루가 길다.
양면에 털이 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7∼9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고 수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차례는 길이 10∼20cm로서 줄기나 가지 끝에 달린다.
포는 좁은 달걀 모양이고 꽃받침보다 짧다.
꽃받침은 통처럼 생기고 2개의 입술 모양이며 윗입술은 길고 3개로 갈라지고
아랫잎술은 짧으며 2개로 갈라진다.
화관은 꽃받침과는 반대로 윗입술이 얕게 2개로 갈라지고 아랫입술이 3개로 갈라진다.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고 암술은 1개이다. 씨방은 1실이고 암술머리는 2갈래이다.
꽃이 진 다음 작은꽃줄기는 밑으로 굽어서 거꾸로 달린다.
열매는 삭과(蒴果)로서 끝부분이 갈고리 모양이며 10월에 익는다.
1개의 종자가 들어 있고 꽃받침으로 싸인다.
유독식물로서 뿌리의 즙을 종이에 먹여서 파리를 죽이기 때문에 파리풀이라고 하며,
뿌리 또는 포기 전체를 짓찧어서 종기·옴, 벌레 물린 데 등에 붙이면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한국·일본·중국·히말라야산맥·동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도둑놈의갈고리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Desmodium podocarpum var. oxyphyllum
(데스모듐 포도카 바 옥시필럼)
도독놈의갈고리라고도 한다.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뿌리는 목질(木質)로서 단단하고 줄기는 곧게 서며 위쪽은 가지를 친다.
높이는 60∼9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줄기 위에 많이 붙으며 작은잎이 3장씩 나온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고 톱니는 없으며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잎자루는 짧고 턱잎은 실 모양이다.
7∼8월에 길이 3∼4mm인 연분홍색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긴 꽃대에 총상꽃차례로 핀다.
화관은 길이 3mm 정도이고 꽃받침은 얇으며 꽃받침통은 짧고 다소 입술 모양이다.
열매는 협과로 편평하고 2마디로 되어 있으며 껍질에 가시가 있어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따라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풀 전체를 가축의 사료로 쓴다.
전라남도·경상남도·경상북도·충청북도·강원도·경기도·황해도·평안북도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동자꽃(Lobate Campion)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Lychnis cognata (리히니스 코그나타)
동자꽃은 산에서 자란다. 줄기는 몇 개씩 모여나며 곧게 서고 마디가 뚜렷하다.
높이는 1m 정도이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 타원형으로 끝이 날카로우며
잎자루가 없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
잎 길이는 5∼8cm, 나비 2.5∼4.5cm로 앞뒷면과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황록색이다.
꽃은 6∼7월에 주홍색으로 백색 또는 적백색의 무늬가 있고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낸
짧은 꽃자루 끝에 1송이씩 붙고 취산꽃차례를 이루어 핀다.
화관(花冠)은 지름 4cm 정도이다. 꽃받침은 긴 곤봉 모양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진다.
꽃잎은 5개이고 납작하게 벌어지며 양쪽에 1개씩의 좁은 조각이 있다.
또한 가장자리에 짧고 작은 톱니가 있으며 꽃의 안쪽에 10개의 작은 비늘조각이 있다.
수술은 10개, 암술은 5개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꽃받침통 속에 들어 있다.
경상남도·경상북도·충청북도·강원도·경기도·황해도·평안북도·함경남도 등지에 분포한다.
천마(天麻)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Gastrodia elata
수자해좃 · 적전(赤箭)이라고도 한다.
부식질이 많은 산지의 숲 속에서 식물의 뿌리에 활물기생한다.
높이 60∼100cm이며 잎이 없고 감자 모양의 덩이줄기가 있다.
덩이줄기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10∼18cm, 지름 3.5cm 정도로 뚜렷하지 않은 테가 있다.
줄기는 붉은 밤색에 조그만 잎이 듬성듬성 난다.
잎집 같은 잎은 막질이며 잔 맥이 있고 밑부분이 줄기를 둘러싼다.
꽃은 6∼7월에 피고 황갈색이며 총상꽃차례를 이루어 많이 달린다.
포는 막질이며 바소꼴 또는 줄 모양의 긴 타원형이고 잔 맥이 있다.
외화피 3개는 합쳐져서 부풀기 때문에 찌그러진 단지같이 되고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며
안쪽에 2개의 내화피가 달리므로 5개같이 보인다.
입술꽃잎은 화피갈래조각 가장자리에 약간 나타난다.
암술은 2개의 날개가 있고 밑부분 앞쪽에 암술머리가 있으며 화분괴에 대가 없다.
열매는 삭과(殼果)로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겉에 화피가 남아 있다.
전초를 강장제 ·신경쇠약 ·현기증 ·두통에 사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에 분포한다.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Lilium tsingtauense (라일륨 칭타우엔스) 하늘말나리가 지고있는 모습
원추리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Hemerocallis fulva (헤메로칼리스 풀바)
넘나물이라고도 한다.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뿌리는 사방으로 퍼지고 원뿔 모양으로 굵어지는 것이 있다.
잎은 2줄로 늘어서고 길이 약 80cm, 나비 1.2∼2.5cm이며 끝이 처진다.
조금 두껍고 흰빛을 띤 녹색이다.
꽃은 7∼8월에 핀다. 꽃줄기는 잎 사이에서 나와서 자라고,
끝에서 가지가 갈라져서 6∼8개의 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빛깔은 주황색이고 길이 10∼13cm, 통부분은 길이 1∼2cm이다.
포는 줄 모양 바소꼴이며 길이 2∼8cm이고, 작은꽃줄기는 길이 1∼2cm이다.
안쪽화피조각은 긴 타원형이고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며 나비 3∼3.5cm이다.
수술은 6개로서 통부분 끝에 달리고 꽃잎보다 짧으며, 꽃밥은 줄 모양이고 노란색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10월에 익는다.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라며 번식은 종자나 포기나누기로 한다.
동아시아 원산으로서 흔히 관상용으로 심는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고, 꽃을 중국요리에 사용하며 뿌리를 이뇨·지혈·소염제로 쓴다.
꽃이 여러 겹인 것을 왕원추리(var. kwanso)라고 한다. 한국·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긴산꼬리풀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통화식물목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Veronica longifolia (베로니카 롱기폴리아)
산기슭에서 자란다. 전체에 털이 없거나 또는 짧은 털이 흩어져 나고,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는 1m 이상이다. 잎은 마주나거나 3∼4개씩 돌려나기도 하고,
잎자루가 짧으며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 또는 바소꼴로 길이 10cm, 나비 2.2cm 정도이다.
7∼8월에 하늘색 꽃이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總狀花序]로 피고, 화관은 4갈래이며 수술은 2개이다.
꽃받침은 4갈래로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줄 모양으로 뾰족하다.
포(苞)는 줄 모양이며 꽃대와 길이가 같다. 열매는 삭과(蒴果)이다.
경상남도·경기도·평안북도·함경남도·함경북도 등지에 분포한다.
산수국(山水菊)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낙엽관목.
학명 : Hydrangea serrata f. acuminata (하이드란지아 세라타 아쿠미나타)
산골짜기나 자갈밭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작은가지에 털이 난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이며 길이 5∼15cm, 너비 2∼10cm이다.
끝은 흔히 뾰족하며 밑은 둥근 모양이거나 뾰족하다.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겉면의 곁맥과 뒷면 맥 위에 털이 난다.
꽃은 7∼8월에 흰색과 하늘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주변의 중성화는 꽃받침조각이 3∼5개이며 꽃잎처럼 생기고 중앙에는 양성화가 달린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5개, 수술은 5개이고 암술대는 3∼4개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서 달걀 모양이며 9월에 익는다.
탐라산수국(for. fertilis)은 주변에 양성화가 달리고, 꽃산수국(for. buergeri)은 중성화의 꽃받침에 톱니가 있으며,
떡잎산수국(for. coreana)은 잎이 특히 두껍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한국·일본·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촬영일 : 2020년 07월 25일 (토요일) 장맛비 내리던날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