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 33

무리우산버섯

무리우산버섯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독청버섯과의 버섯. 학명 : Kuehneromyces mutabilis (쿠에네로미세스 무타빌리스) 봄부터 가을까지 나무의 죽은 줄기 또는 그루터기에 뭉쳐서 자라거나 무리를 지어 자란다.  버섯갓은 지름 1.5~3cm로 어릴 때 둥근 산 모양이다가 자라면서 점차 편평해지고 가운데가 봉긋하다.  갓 표면은 축축하면 점성이 있고 황갈색, 육계색, 다갈색이며 가장자리에 뚜렷한 줄무늬가 나타난다.  살은 버섯갓과 색이 같다. 주름살은 바른주름살 또는 내린주름살이고 촘촘하며 육계색이다. 버섯대는 굵기 2.5~3.5mm, 길이 4~7cm로 윗부분에 막질 또는 섬유질의 턱받이가 있다.  버섯대 표면은 윗부분이 흰색 가루처럼 되어 있고 아랫부분이 어두운 황갈색이며 갈라진 비늘조각이 있다..

그룹명/버섯 2024.10.15

어제 만난 버섯 모음

이것이 식용버섯인 외대덧버섯(밀버섯)이었다.   외대덧버섯 주름살버섯목 외대버섯과의 버섯. 학명 : Entoloma crassipes Imaz. et Toki (엔톨로마 크래시페 이마즈. 에토키) 밀버섯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진 외대덧버섯은 이와 모습이 아주 흡사한 삿갓외대버섯이라는 독버섯(콜린, 무스카린/무스카리딘 함유)과 혼동하여 독버섯 중독사고를 많이 일으키는 주범이다. 언듯보면 다른 독버섯인 흙무당버섯과도 유사한 모양을 띄고 있다. 모양이 아주 유사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외대덧버섯이 삿갓외대버섯보다 대의 굵기가 다소 굵어  그물버섯류와 유사하고, 버섯대의 안이 차있어 눌러도 부서지지 않지만 삿갓외대버섯은 대가 비어있어 누르면 쉽게 부서진다. 특히 삿갓외대버섯에는 백회색 얼룩이 없다. 당연히 버..

그룹명/버섯 2024.10.10

밀꽃애기버섯

밀꽃애기버섯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버섯) 주름버섯목 낙엽버섯과 밀버섯속. 학명 : 짐노퍼스 컨플루언즈 (퍼스) 안토닌, 할링 앤 노델. (Gymnopus confluens (Pers.) Antonin, Halling & Noordel.) 반구형에서 거의 편평하게 전개 바른주름살 또는 올린주름살로 밀생하며 균모와 동색이다. 주름살은 끝붙은형 또는 떨어진형이고, 빽빽하며, 갓과 같은 색 버섯대의 크기는 2.5~9cm × 0.15~0.4cm이고 위아래 굵기가 같으며 속은 비어 있다.  전면에 털이 덮여 있으며 기부에는 백색균사가 분포한다.    밀애기버섯 (두산백과 두피디아)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송이과의 버섯이다. 학명 : Collybia confluens (콜리비아 컨플루언즈) 밀버섯이라고도 하..

그룹명/버섯 2024.10.10

흰털깔때기버섯

흰깔때기버섯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송이과의 버섯. 학명 : Clitocybe maxima (클리토시베 맥시멈) 가을에 숲 속, 들판, 땅 등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버섯갓은 지름 10~30㎝이고 처음에 둥글다가 편평해지며 나중에는 넓은 깔때기 모양으로 되는데 여전히 가운데가 봉긋하다.  갓 가장자리는 얇고 안으로 감긴다. 갓 표면은 처음에 연한 붉은 밤색이고 색이 바래서 흰색으로 변하며  비단실처럼 생긴 비늘이 촘촘히 덮고 있다. 살은 흰색이다가 오래되면 색이 지저분해지며 질기고 냄새가 난다.  주름살은 폭이 좁은 내린주름살이고 촘촘하며 흰색에서 지저분한 노란색으로 변한다. 버섯대는 지름 1~3㎝, 길이 7~13㎝이고 위아래의 굵기가 같으며 밑부분은 곤봉처럼 생긴 둥근뿌리가 있다.  버섯대 표면은 흰색이..

그룹명/버섯 2024.10.09

이름 알수없는 찐빵 같은 버섯외

요즘 사람들은 하나같이 기후변화를 입에 담는다. 올해 여름 유난히 더웠던 날들 지나고 보니 어느사이 내몸은 두툼하고 긴소매 옷으로 감싸고 있지 않은가 특별히 야생화도 그러했고 꽃이 뜸해진 이가을에는 독버섯이든 식용버섯이든 갓피어나는 모습들이 꽃처럼 예뻐서 카메라를 가까이 들이대본다. 계곡주변 활엽수림 아레 낙엽위에 소복소복 하얗게 찐빵처럼 솟아난 버섯이 보이던 순간  햐 이놈들이 이제서야 피어나나 하면서 뒷면을 살펴보니 내가 생각했던  그 땅느타리라고도 부르는 흰털깔때기버섯은 아닌것 같다.    이름을 찾았다.담황색주름버섯!!! 담황색주름버섯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의 버섯. 학명 : Agaricus sivicola (아가리쿠스 시비콜라) 여름부터 겨울까지 침엽수림의 땅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버..

그룹명/버섯 2024.10.06

등갈색미로버섯

등갈색미로버섯    橙褐色迷路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의 버섯 학명 : Daedalea dickinsii Yasuda (다달레아 디킨시 야스다) 참나무류, 가시나무류 등 활엽수의 벌채한 그루터기 또는 쓰러진 나무에 발생한다.  흔히 중첩해서 층생한다. 갈색부후균. 매우 흔한 종. 자실체는 일년생-다년생. 균모는 편평하거나 반원형, 약간 말발굽형. 기물에 직접 부착하며 흔히 여러 층으로 난다.  부착된 부분 쪽으로 두꺼워져 단면은 쐐기 모양. 폭 5~15cm, 두께 1~2cm, 부착 부분이 더 두껍기도 하다.  때로 작은 가지에 보통보다 훨씬 소형으로 나기도 한다. 균모 표면은 신선할 때 코르크색, 이후 탁한 갈색. 동심원상으로 얕은 테 모양 골이 있다.  때로는 가는 주름이 얕게 돌출되어 사마귀 모양의..

그룹명/버섯 2024.10.06

말뚝버섯

말뚝버섯 담자균류 말뚝버섯과의 버섯이다. 학명 : Phallus impudicus (팔루스 임푸디쿠스)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임야·정원·길가, 또는 대나무 숲에서 한 개씩 자란다.  버섯갓은 지름 4~5㎝로 종 모양이고 어려서는 반지하생으로 흰색 알 모양이며 밑부분에는 뿌리와 같은 균사다발이 붙어 있다.  윗부분이 터져서 버섯이 솟아나온다. 버섯대는 높이 10~15㎝로 밑부분이 굵고 윗부분이 가는 원통형 말뚝 모양이다. 버섯대 표면은 순백색이다. 갓 전면에는 주름이 생겨 다각형의 그물 모양 돌기가 생기며 여기에 암녹갈색의 악취가 나는 점액이 붙는다.  이 점액은 자실층의 조직에서 유래된 것으로 수많은 포자가 들어 있으며 파리와 같은 곤충을 유인하여 포자 전파의 구실을 한다. 식용할 수 없다. 한국(소백산..

그룹명/버섯 2024.10.05

좀말불버섯

좀말불버섯 담자균류 말불버섯과의 버섯이다. 학명 : Lycoperdon pyriforme (라이코페르돈 피리포르메) 여름과 가을에 숲 속의 썩은 나무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자실체는 높이 2~4㎝이고 거꾸로 된 달걀 모양이나 공과 비슷한 모양이다.  자실체의 머리부분은 표면이 처음에 흰색이다가 나중에 회갈색으로 변하며 밋밋한 것도 있고 작은 알갱이가 있는 것도 있다. 머리부분의 꼭대기 끝에 작은 주둥이가 있다.  자실체 내부는 처음에 흰색이지만 나중에 누런빛을 띤 초록색이나 초록빛 갈색으로 변한다.  홀씨는 지름 4㎛의 공 모양이다. 어린 것은 식용할 수 있다. 한국, 북한, 일본 등 전세계에 분포한다.          촬영일 : 2024년 10월 05일 (토요일)

그룹명/버섯 2024.10.05

말불버섯

말불버섯 담자균류 말불버섯과의 버섯이다. 학명 : Lycoperdon perlatum(gemmatum) (리코페르돈 펄라툼(젬마툼))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산야 ·길가 또는 도회지의 공원 같은 곳에서도 흔히 발생한다.  자실체 전체가 서양배 모양이고 상반부는 커져서 공 모양이 되며 높이 3∼7cm, 지름 2∼5cm이다.  어렸을 때는 흰색이나 점차 회갈색으로 되고 표면에는 끝이 황갈색인 사마귀 돌기로 뒤덮이며,  나중에는 떨어지기 쉽고 그물 모양의 자국이 남는다. 속살은 처음에는 흰색이며 탄력성 있는 스펀지처럼 생겼고 그 내벽면에 홀씨가 생긴다.  자라면서 살이 노란색에서 회갈색으로 변하고 수분을 잃어 헌 솜뭉치 모양이 되며 나중에는 머리 끝부분에  작은 구멍이 생겨 홀씨가 먼지와 같이 공기 중에 흩어진..

그룹명/버섯 2024.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