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야생화

3월의 야생화 모음

도랑도랑 2021. 3. 22. 22:02

 

진달래

 

쌍떡잎식물 진달래목 진달래과의 낙엽관목.
학명 : Rhododendron mucronulatum (로도덴드론 무크로눌라툼)

 

참꽃 또는 두견화라고도 한다. 전국의 50~2,000m 높이의 산야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높이는 2∼3m이고 줄기 윗부분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지며, 작은가지는 연한 갈색이고 비늘조각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 모양의 바소꼴 또는 거꾸로 세운 바소꼴이며 길이가 4∼7cm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표면에는 비늘 조각이 약간 있고, 뒷면에는 비늘 조각이 빽빽이 있으며 털이 없고,

잎자루는 길이가 6∼10mm이다.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가지 끝 부분의 곁눈에서 1개씩 나오지만 2∼5개가 모여 달리기도 한다.

화관은 벌어진 깔때기 모양이고 지름이 4∼5cm이며 붉은빛이 강한 자주색 또는 연한 붉은 색이고 겉에 털이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 밑 부분에 흰색 털이 있으며, 암술은 1개이고 수술보다 훨씬 길다.


열매는 삭과이고 길이 2cm의 원통 모양이며 끝 부분에 암술대가 남아 있다.
관상용으로 심기도 하고, 꽃은 이른봄에 꽃전을 만들어 먹거나 진달래술(두견주)을 담그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꽃을 영산홍(迎山紅)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해수·기관지염·감기로 인한 두통에 효과가 있고,

이뇨 작용이 있다.

 

 

 

 

꿩의바람꽃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Anemone raddeana (아네모네 라데아나)

 

꿩의바람꽃은 숲속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어나가며 길이는 1.5∼3cm, 육질은 굵은 편이다.
꽃줄기는 높이가 15∼20cm이다.
뿌리에서 난 잎은 길이 4∼15cm의 잎자루에 세 장의 작은잎이 나온 잎이 3개씩 달리며(2회 3출겹잎),

작은잎은 길이 15∼35mm, 폭 5∼15mm의 긴 타원 모양이고 끝이 3갈래로 깊이 갈라지며 털이 없다.


꽃은 4∼5월에 피는데 흰빛에 약간 자줏빛이 돌고 지름이 3∼4cm이며, 꽃줄기 위에 한 송이가 달린다.
꽃에는 꽃잎이 없고 꽃받침이 꽃잎처럼 보인다.

꽃받침은 8∼13조각이고, 꽃받침조각은 길이 2cm 정도의 긴 타원 모양이다.
수술과 암술의 수가 많고, 수술대는 길이가 5∼8mm이며, 꽃밥은 흰색이다.
씨방에 잔털이 있으며, 열매는 수과이다. 한국, 중국, 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꿩의바람꽃

 

 

 

 

 

 

선괭이눈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Chrysosplenium pseudofauriei H.Lev. (크리소플레늄 슈도파우리에이 H.Lev.)

 

산지의 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자란다.

옆으로 벋는 줄기는 뿌리를 내린 다음 곧게 서며 높이가 10cm에 달하고 털이 없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뭉쳐나고, 줄기에 달린 잎은 마주나며 달걀 모양·타원 모양·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고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 바로 밑에 달린 잎은 황색이다.


꽃은 3~5월에 피는데 옅은 노란색을 띤다. 꽃받침조각은 4개이고 모가 진다.
열매는 삭과이고 2개로 갈라지며, 종자는 검은 색이고 길이 0.7mm의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모가 난 줄이 있으며 가시 모양의 돌기가 있다.
바위괭이눈과 비슷하지만 꽃줄기가 뭉쳐나고 잎이 작은 것이 다르다.

한국(북부지방)·중국·우수리강(江) 유역·아무르 등지에 분포한다.

 

 

 

 

 

괴불주머니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현호색과의 두해살이풀.
학명 : Corydalis pallida (Thunb.) Pers. (코리달리스 팔리다(Thunb.) 페르스.)


괴불주머니는 아이나 여자들 주머니 끝에 매달던 작은 노리개다.
꽃이 괴불주머니를 닮아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특유의 냄새가 나서 똥풀이라고 하는 곳도 있다.
연한 잎을 데쳐서 우려내고 먹는 곳도 있지만, 괴불주머니나 산괴불주머니, 염주괴불주머니 모두

독이 있어 나물로 먹으면 안 된다.

 

 

 

산중턱이나 길가에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연약하며,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윗부분에서 많은 가지를 치고, 높이 15-50cm이다.
잎몸은 난형 또는 긴 난형으로 2회 깃꼴로 깊게 갈라진다.
꽃은 4-5월에 피며, 줄기 끝에서 2-8개가 모여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포는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양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의 한쪽은 입술 모양으로 아랫입술이 더 작다.
수술은 6개로 3개씩 뭉쳐 있다. 열매는 삭과, 선형이다.
씨는 검고 겉에 원추상 돌기가 있다.
우리나라 함경남도와 중부 및 남부지방에 자생한다. 러시아,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줄기는 연약하며,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윗부분에서 많은 가지를 치고, 높이 15-50cm이다.
잎몸은 난형 또는 긴 난형으로 2회 깃꼴로 깊게 갈라진다.
꽃은 줄기 끝에서 2-8개가 모여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포는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양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의 한쪽은 입술 모양으로 아랫입술이 더 작다.
수술은 6개로 3개씩 뭉쳐 있다. 열매는 삭과, 선형이다. 씨는 검고 겉에 원추상 돌기가 있다.

 

 

 

 

사철쑥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Artemisia capillaris (아르테미시아 카필라리스)


인진쑥, 애탕쑥이라고도 한다. 냇가의 모래땅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 30∼100cm이다.
밑부분은 목질이 발달하여 나무같이 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꽃이 피지 않는 가지는 끝에 잎이 뭉쳐나고 잎자루가 길다.
밑부분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길고 길이 1.5∼9cm, 나비 1∼7cm로서 2회 깃꼴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실처럼 가늘고 나비 약 0.3mm이며 전체가 비단 같은 털로 덮인다. 위로 갈수록 잎이 작아진다.


꽃은 8∼9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두화(頭花)는 둥글며 지름 2mm 정도로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길이 1∼2mm의 꽃자루가 있다. 총포는 둥글고 털이 없으며 포조각은 3∼4줄로 늘어선다.
바깥조각은 달걀 모양, 안조각은 타원 모양이다. 열매는 수과로서 길이 약 0.8mm이다.


어린순을 식용하며, 포기 전체를 염증을 없애는 이뇨제로 쓰거나 황달에 사용한다.

한국·일본·타이완·중국·필리핀 등지에 분포한다.

 

 

 

 

머위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Petasites japonicus (페타사이트 자포니쿠스)


우리나라 전역의 산록의 다소 습기가 있는 곳에서 무리지어 잘 자란다.
집 주변과 울타리 주변에 심어 두기도 하며 밭작물로 재배하기도 한다.
머위는 지역에 따라 '머구', '머우'라고도 부르며 한의학에서는 '봉두채(蜂斗菜)'라고 한다.
암수가 딴그루로 자라며 이른 봄 2월 말~3월 초가 되면 땅속에서 줄기가 뻗어 오르면서 꽃을 피운다.
숫그루의 꽃은 옅은 노란색이며 암그루의 꽃은 흰색에 까깝다.
굵은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끝에서 잎이 나온다.
숫그루의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신장(腎臟)모양이며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전체적으로 꼬부라진 털이 있다.
이른봄에 숫그루의 잎보다 먼저 암그루의 꽃줄기가 자라고 꽃이삭은 커다란 포로 싸여 있다.
가을이면 잎이 무성하여 넓은 군락을 이루게 된다.


꽃은 2가화(二家花)이며 암꽃이삭은 꽃이 진 다음 30cm 정도 자란다.
암꽃과 숫꽃 모두 관모(冠毛)가 있다. 열매는 수과로 원통형이며 길이 3.5cm이다.
잎자루와 꽃이삭은 산채(山菜, 산나물)로서 식용으로 하는데 잎은 쌈으로 먹고 장아찌를 담가 먹기도 한다,
줄기는 나물로 무쳐서 먹는다. 머위는 그 맛이 쓰기 때문에 데쳐서 물에 우려내 식용하는데 약간 쌉쌀한 맛에 머위 특유의 향기가 있어 별미로 취급된다.
머위의 뿌리는 한의학에서는 기침을 멎게하는 진해제(鎭咳劑)로 사용한다.
머위는 해독작용이 뛰어난 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물을 정화하여 맑게하는 특성이 있다. 한국·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선괭이눈

 

꿩의바람꽃

 

 

 

 

 

 

 

 

 

 

 

 

 

 

 

 

 

 

 

 

 

 

 

촬영일 : 2021년 03월 21일 (일요일)

'그룹명 >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비꽃 모음  (0) 2021.04.04
고깔제비꽃  (0) 2021.04.04
얼레지  (0) 2021.03.22
날개현호색  (0) 2021.03.22
남산제비꽃 외  (0) 2021.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