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제비꽃
쌍떡잎식물 제비꽃목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Viola phalacrocarpa (비올라 팔라크로카파)
양지쪽 구릉지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짧고 전체에 잔털이 난다.
잎은 무더기로 나고 퍼진 털이 나며 긴 달걀 모양으로서 길이 1∼3cm, 나비 0.8∼2.5cm이다.
잎 밑은 심장 모양이며 잎자루는 길이 3∼10cm이다.
열매가 익을 무렵에 자라는 잎은 길이 약 8cm이며 잎자루는 길이 약 20cm이다.
꽃은 4∼5월에 붉은빛을 띤 자주색으로 피는데, 잎 사이에서 길이 5∼10cm의 꽃줄기가 나와 1송이씩 달린다.
수술은 5개이며 꽃받침의 부속체는 삼각이거나 사각 모양이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으며 측판 밑동에 털이 난다.
꿀주머니는 길이 6∼8mm이다. 열매는 삭과(蒴果)로서 타원형이며 잔털이 빽빽이 난다.
한국, 일본,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전체에 털이 거의 없는 것을 민둥제비꽃(for. glaberrima)이라고 한다.
잔털제비꽃
쌍떡잎식물 측막태좌목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Viola keiskei (비올라 키스케이)
전체에 잔 털이 있으며 뿌리줄기가 비스듬히 옆으로 자라고 마디가 다닥다닥 있다.
잎은 뿌리에서 무더기로 나와서 비스듬히 자라고 다소 털이 있으며 달걀 모양 원형으로 밑은 심장밑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4월에 길이 5∼10cm의 꽃줄기 끝에 흰색 꽃이 1개씩 옆을 향하여 달린다.
꽃잎은 옆의 것은 털이 약간 있거나 없고 앞의 것은 자주색 줄이 있으며 꿀주머니는 길이 6∼7mm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달걀 모양 타원형이며 털이 없다.
열매가 익을 때는 대가 자라지 않으며 원줄기 밑에 뭉쳐 있다.
한국(경기도 이남)·일본에 분포한다.
알록제비꽃
쌍떡잎식물 측막태좌목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Viola variegata (비올라 바리에가타)
높이는 6cm 정도이다. 원줄기가 없고, 잎은 뿌리에서 모여난다.
잎의 길이와 폭은 각각 2.5~5cm로 넓은 심장 모양이다.
잎이 두껍고 양면에 털이 나 있다.
4월에 자주색 꽃이 잎 사이에서 나온 긴 꽃줄기 끝에 하나씩 핀다.
열매는 삭과(果)이다. 산지(山地)에서 자란다. 한국의 각지에 분포한다.
제비꽃
쌍떡잎식물 제비꽃목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Viola mandshurica (비올라 만두리카)
장수꽃·병아리꽃·오랑캐꽃·씨름꽃·앉은뱅이꽃이라고도 한다. 들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 10cm 내외이다. 원줄기가 없고 뿌리에서 긴 자루가 있는 잎이 자라서 옆으로 비스듬히 퍼진다.
잎은 긴 타원형 바소꼴이며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이 진 다음 잎은 넓은 삼각형 바소꼴로 되고 잎자루의 윗부분에 날개가 자란다.
꽃은 4∼5월에 잎 사이에서 꽃줄기가 자라서 끝에 1개씩 옆을 향하여 달린다.
꽃빛깔은 짙은 붉은빛을 띤 자주색이고 꽃받침잎은 바소꼴이나 끝이 뾰족하며
부속체는 반원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잎은 옆갈래조각에 털이 있으며 커다란 꿀주머니가 있다. 열매는 삭과로서 6월에 익는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는다. 풀 전체를 해독·소염·소종·지사·최토·이뇨 등의 효능이 있어 황달·간염·수종 등에 쓰이며
향료로도 쓰인다. 유럽에서는 아테네를 상징하는 꽃이었으며 로마시대에는 장미와 더불어 흔히 심었다.
그리스도교 시대에는 장미·백합과 함께 성모께 바치게 되었는데 장미는 아름다움을 나타내고 백합은 위엄을 나타내며 제비꽃은 성실과 겸손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꽃말은 겸양(謙讓)을 뜻하며, 흰제비꽃은 티없는 소박함을 나타내고 하늘색은 성모 마리아의 옷 색깔과 같으므로 성실·정절을 뜻하며 노란제비꽃은 농촌의 행복으로 표시하고 있다. 한국, 중국, 일본, 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촬영일 : 2021년 04월 03일 (토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