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암(菩提庵)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 금산 남쪽 봉우리에 있는 절. / 이칭별칭 보광사(普光寺)
이칭(異稱): 달리 부르는 명칭.
별칭(別稱): 달리 부르는 명칭.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본사인 쌍계사(雙磎寺)의 말사이다. 683년(신문왕 3)에 원효(元曉)가 이곳에 초당을 짓고
수도하면서 관세음보살을 친견한 뒤 산 이름을 보광산(普光山)이라 하고 초암의 이름을 보광사(普光寺)라 하였다.
그 뒤 이성계(李成桂)가 이곳에서 백일기도를 하고 조선왕조를 연 것을 감사하는 뜻에서 금산이라 하였고,
1660년(현종 1)에는 현종이 이 절을 왕실의 원당(願堂)으로 삼고 보리암이라 개액(改額)하였다.
그 뒤 1901년에 낙서(樂西)와 신욱(信昱)이 중수하였고, 1954년에 동파(東波)가 중수하였으며,
1969년에는 주지 양소황(梁素滉)이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보광전(普光殿)을 비롯하여 간성각(看星閣)·산신각·범종각·요사채 등이 있다. 문화재로는 큰 대나무 조각을 배경
으로 좌정하고 있는 향나무 관세음보살상이 있다. 이 관세음보살상은 왼쪽에는 남순동자(南旬童子), 오른쪽에는 해상용왕을 거느리고
있는데, 김수로왕의 부인인 허씨가 인도에서 모셔왔다고 하나 신빙성이 없다고 한다.
삼층석탑은 신라석탑의 양식을 보이고 있어 신라석탑이라 부르고 있으나, 고려 초기의 작품으로 감정되고 있다.
보리암 앞 바위 끝에 세운 높이 165㎝의 이 탑은 상륜부에 보주(寶珠)만 놓여 있다. 이 밖에도 보리암 주위에는 원효가 좌선하였다는
좌선대를 비롯하여 쌍홍문(雙虹門) 등 38경의 경승지가 있다.
보리암전 삼층석탑(菩提庵前三層石塔)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상주리에 있는 신라시대의 석탑. / 경남유형문화재 제74호
1974년 2월 16일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74호로 지정되었다.
남해 금산(錦山) 상봉에 위치한 보리암 앞에 있는 3층석탑이다. 전설에 의하면, 683년(신문왕 3)에 원효(元曉)의 금산 개산을 기념하기
위하여 김수로왕비 허태후(許太后)가 인도의 월지국(月之國)에 갔다가 돌아올 때 풍파를 만나 건너오지 못했는데, 허태후가 탄 배에
파사석(인도에만 있는 석재)을 싣고 오자 아무 사고 없이 무사히 건너오게 되었다고 한다. 이 돌을 가지고 원효대사가 보리암 앞에
세운 것이 바로 이 탑이라고 한다.
재질은 화강암이고 고려 초기의 양식을 보이고 있는데 상륜부 이상은 약간 파손되었으나 후에 복원되었다. 석탑은 1층부터 3층 옥개석
(탑의 맨 위쪽에 있는 덮개돌)까지 높이는 1.8m이고 1층 한쪽의 길이는 1.2m이다. 3층 탑신에는 우주(隅柱)가 새겨져 있고, 상륜부(相輪部)
에는 귀한 구슬 모양의 보주(寶珠)가 남아 있다.
보리암 해수관음보살상(菩提庵 海水觀音菩薩像)
연꽃대좌 위에 관음보살이 정병을 들고 보관에는 석가모니불 좌상이 새겨져 있다. 옷주름 표현이 바람에
날리는듯 하며 탄력감이 느껴지는 사실적인 보살상이다. 1989년에 제작된 것으로 치성을 드리면 효험이
있다 하여 보리암을 찾아드는 사람도 많다고 한다.
해수관음도량이란 관세음보살이 상주하는 도량을 말하며, 특별히 해수관음이라 이름 붙인 것은 해수에다 비유해서 표현된 것으로
바다 중생들이 육지 못지 않게 많기때문에 그 중생들을 항상 피안으로 이끌기 위해서 바다를 관(觀)하고 계신 관세음보살을 뜻 한다고
하는데, 꼭 바다 중생만을 구하기 위한 것이란 뜻은 아니다는 것이기도 하다.
관세음보살은 자비심으로 중생을 구제하겠다고 서원을 세운 보살로서 관세음, 관세자재, 관세음자재 등으로 한역한다. 관세음이란
세간의 음성을 관(觀)하여 자비로써 구제한다는 뜻이다. 또한 중생에게 온갖 두려움이 없는 무외심(無畏心)을 베푼다는 뜻으로
‘시무외자’라고도 한다. 세상을 교화함에 있어 중생의 근기에 맞추어 여러 가지 모습으로 나타나기에 보문시현(普門示現)이라고 하며,
32가지의 몸(삼십이응신)을 나눈다.
<법화경>에서는 “무진의(無盡意) 보살이 부처님께 관세음보살은 무슨 인연으로 관세음이라 하느냐고 묻자 부처님께 말씀하시기를,
만약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중생이 갖가지 고뇌를 받고 있을 때 이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듣고 한 마음으로 그의 이름을 부르면 관세음
보살이 곧 그 음성을 듣고 모두 해탈하게 한다.”고 했다.
보리암 범종각(菩提庵 梵鐘閣)
범종은 절에서는 단체생활을 하기 때문에 기상, 식사, 의식, 취침에 이르기까지 모두 신호로써 알려주는데, 종은 시간을 알려주는
도구로서 제작 되었다고 전해진다.
범종(梵鐘)
사찰에서 아침·저녁 예불 때 치는 큰 종. 범종의 기본형은 용뉴(龍鈕)·음관(音管)·천판(天板)·상대(上帶)·유곽(乳廓)·유두(乳頭)·
비천상(飛天像)·당좌(撞座)·하대(下帶)로 되어 있는데, 용뉴(龍鈕)는 범종의 가장 위쪽에 있는 용의 모습을 한 고리로, 이곳에 쇠줄을 연결
하여 종을 매달음. 음관(音管)은 용뉴 바로 옆에 붙어 있는 대나무 마디 모양의 소리 대롱이고, 천판(天板)은 용뉴·음관과 접촉하고
있는 범종의 머리 부분으로, 주로 연꽃잎이 새겨져 있다. 상대(上帶)는 범종의 어깨 부분에 둘린 무늬 띠이고, 하대(下帶)는 아랫부분에
둘린 무늬 띠인데, 상·하대에는 주로 덩굴풀 무늬, 국화 무늬가 새겨져 있다. 유곽(乳廓)은 윗부분의 네 곳에 있는 네모난 테이며,
그 안에는 각각 9개의 볼록 솟아 있는 꼭지가 있는데, 이것이 마치 젖꼭지 같다고 하여 유두(乳頭)라고 함. 범종의 가운데에는
비천상(飛天像)이 새겨져 있고, 종을 치는 당목(撞木)이 닿는 곳을 당좌(撞座)라고 한다.
보리암의 범종은 독특해 보인다. 얼마전 국립경주박물관 옥외 성덕대왕신종을 자세히 본 적이 기억나서 부분별로 사진에 담아봤다.
보리암의 범종에 새겨진 글은 경봉스님의 글씨라고 한다.
원음종(圓音鐘)
南海錦山無限景(남해금산무한경) / 남해 금산의 끝 간 데 없는 경치에
天邊雲外此鐘聲(천변운외차종성) / 하늘가 구름 밖 이 소리 퍼져 가네
森羅萬象非他物(삼라만상비타물) / 삼라만상이 모두 다른 것 아닐진대
一念不生猶未明(일념부생유미명) / 한마음 나지 않아 여전히 미명일세
유두(乳頭)
유곽(乳廓)은 윗부분의 네 곳에 있는 네모난 테이며, 그 안에는 각각 9개의 볼록 솟아 있는 꼭지가 있는데, 이것이 마치 젖꼭지 같다고 하여
유두(乳頭)라고 함.
음관(音管)과 용뉴(龍鈕)
음관(音管)은 용뉴 바로 옆에 붙어 있는 대나무 마디 모양의 소리 대롱이며, 용뉴(龍鈕)는 범종의 가장 위쪽에 있는 용의 모습을 한
고리로, 이곳에 쇠줄을 연결 하여 종을 매단다.
범종의 어깨 부분에 둘린 무늬 띠 상대(上帶)
비천상(飛天像)
이태조기단(李太祖祈壇, 이씨기단)
금산 38경(錦山 三十八景) 중에서 제7경으로 꼽히는 유적(遺蹟)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李成桂)가 금산에서 100일 기도를 한 이후
조선 태조로 등극 했다는 전설(傳說)이 깃든 곳으로서, 극락전 아래쪽으로 난 대나무 숲길을 따라 가파른 계단길을 내려가면 나오는
삼불암(三佛巖)의 아래쪽에 위치해 있다는 이태조기단(李太祖祈壇), 지난 2012년 6월 27일 처음으로 보리암을 갔을때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정확히 알 수가 없어서 빠뜨려 버렸던곳 중의 하나였다. 이번에 가게 되었던 동기 또한 그 때 볼 수가 없었던 쌍홍문과
바로 이곳을 보고 올 것이란 생각으로 갔지만 또 다시 시간에 쫓기어 내려가 보지를 못했다. 멀리서 내려다 보이는 전각의 지붕
왕복 400 미터의 아쉬움을 남겨두고 와 버렸다.
그 곳에는 이성계(李成桂)의 기도처였던 곳에 건립한 전각(殿閣)인 선은전(璿恩殿)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태조 이성계(太祖 李成桂)가
백일기도를 하던 중 산신(山神)의 영험에 의해 보위(寶位)에 오를 수 있었다는 전설(傳說)이 깃든 유적(遺蹟)을 기념(記念)하는
비(碑)인 남해금산영응기적비(南海錦山靈應記蹟碑)가 있고, 우측에는 대한중흥송덕축성비(大韓中興頌德祝聖碑)가 건물 벽에 잇대어
세워져 있다고 했는데......
14시 30분까지 주차장으로 내려 오라는 약속 시간에 쫓기듯 내려 나오는 길 기념품관 앞 마당에서 다시 건너다 본 대장봉과 형리암의
모습은 싫증나지 않는 풍경으로 와 닿았다.
촬영일: 2014년 3월 9일
'그룹명 > 문화유적유물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동임하동중앙삼층석탑 (安東臨河洞中央三層石塔) (0) | 2014.04.30 |
---|---|
안동임하동십이지삼층석탑 (安東臨下洞十二支三層石塔) (0) | 2014.04.30 |
경주 보문사지 당간지주 (慶州 普門寺址 幢竿支柱) (0) | 2014.03.02 |
경주보문리사지(慶州普門里寺址)와 보문사지 석조 (普門寺址 石槽) (0) | 2014.03.02 |
경주 보문동 연화문 당간지주(慶州普門洞蓮華文幢竿支柱) (0) | 2014.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