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꽃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들별꽃이라고도 하며, 산지의 나무 밑에서 자라고 높이는 10∼15cm 정도이다.
사각뿔 모양의 덩이뿌리는 살졌고 1∼2개씩 붙는다.
줄기는 1∼2개씩 나오고 흰 털이 난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10∼40mm, 나비 2∼4mm이다.
위쪽의 잎은 점차 작아지고 바소꼴이며, 아래쪽의 잎은 좁아져서 잎자루처럼 된다.
5월에 잎겨드랑이에서 꽃대가 나와 1개의 흰색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5개이고 꽃잎도 5개로서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며 길이 6mm 정도이다.
수술은 10개이고 꽃밥은 노란색이며 암술대는 3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로서 둥근 달걀 모양이고 6∼7월에 익으며 3갈래로 갈라진다.
종자에는 작은 돌기가 빽빽이 난다.
금방 피어난듯한 싱싱한 작은 꽃 한 송이를 자세히 들여다 보면 예쁘다는 생각이들때가있다.
그 중에서도 개울가나 산지의 숲속에서 흔하게 만날수 있는 개별꽃 이들도 종류가 다양한듯
막상 사진을 정리 하면서 이름표를 달려고 하다보니 정확한 이름표를 붙여두기가 쉽지가 않다.
틀린 부분이 생기면 다시 수정하여 바로잡는 일이 생길지라도 우선은 정리부터 해놓아야겠다.
덩굴개별꽃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Pseudostellaria davidii
산의 나무 밑에서 자라며, 덩이뿌리는 굵고 양 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이며 줄기는 연하고 곧게 선다.
높이는 15cm 정도이고, 꽃이 핀 다음에 가지가 옆으로 길게 벋으면서 덩굴처럼 된다.
잎은 마주나고 바소꼴로 끝이 가시처럼 뾰족하며 밑은 좁아져 잎자루 처럼 되고 가장자리에는 흰 털이 있다.
덩굴 끝은 실처럼 가늘어져서 땅에 닿으면 뿌리가 내린다.
5∼6월에 흰색 꽃이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실같이 긴 꽃줄기 끝에 1개씩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바소꼴로 끝이 뾰족하며 녹색이고 뒷면에 긴 흰색 털이 있다.
꽃잎은 5개,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개이고, 꽃밥은 검은 자줏빛이다.
평안북도, 함경북도 등지에 분포한다. 라고 설명되어 있는데 분포지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큰개별꽃
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Pseudostellaria palibiniana
꽃이 별모양이고 다른 종류의 개별꽃에 비하여 잎이 크기 때문에 큰개별꽃 이라고 한다는것이다.
산지의 응달에서 자라며, 뿌리는 1∼4개이고 양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의 덩이뿌리이며 흰색이다.
줄기는 높이가 10∼20cm이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털이 2줄로 돋는다.
잎은 마주나고 줄기 밑 부분에 달린 잎은 주걱 모양 또는 거꾸로 세운 바소꼴이며 털이 있다.
줄기 윗부분에 달린 2쌍의 잎은 크고 마디 사이가 짧기 때문에 돌려난 것 같이 보이며 넓은 달걀 모양이고 털이 없다.
잎 밑 부분이 좁아서 잎자루처럼 되고 끝이 뾰족하며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4∼6월에 흰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위를 향하여 1개가 달린다.
작은꽃자루는 길이가 15∼25mm 정도이고 털이 없으며, 꽃받침은 5∼7개로 갈라지고 녹색이며,
꽃잎은 5개이고 길이 6∼8mm의 거꾸로 세운 넓은 바소꼴이며 끝이 둔하다.
수술은 10개이고 꽃밥은 황색이며,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줄기 밑 부분의 잎겨드랑이에 꽃자루가 짧은
폐쇄화가 달리며, 열매는 삭과이고 둥글며 4개로 갈라져서 종자가 나온다.
왜미나리아재비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학명: Ranunculus franchetii
줄기 높이는 15~20cm 정도이며, 곧게 서지만 연약하고, 뿌리잎은 모여나며 잎자루가 길고 세 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줄기잎은 잎자루가 짧거나 없고 3갈래 선형으로 깊게 갈라진다. 4~5월에 줄기 끝에서 노란 꽃이 핀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여러 개가 모여 둥글게 되며, 햇볕이 잘 드는 깊은 산속의 습지에서 자란다.
계룡산, 강원 이북에 분포한다. 라고 설명되어 있으나 이 또한 분포지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것은 아니라는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