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문화유적유물산책

괴시리전통마을

도랑도랑 2016. 1. 3. 21:33

 

                                                                                                                                             괴시동 물소와고택(槐市洞勿小窩古宅)

 

 

괴시(槐市)리
괴시리 동명의 유래는 고려(高麗) 말엽 목은(牧隱) 이색(李穡)이 중국 사신으로 다녀와서, 자기 고향인 호지촌(濠池村)의 지형이 중국의 괴시와 흡사하다 하여 괴시라 하였다고 한다. 괴시1리인 호지촌(濠池村) 마을은 13세기말인 고려 말년에(1260년경) 함창김씨(咸昌金氏)가 입주하여 세거(世居) 했다고 하며, 그 뒤 16세기인 명종(明宗) 연간에 수안김씨(遂安金氏)와 영해신씨(寧海申氏)가 입주하였다고 하며, 17세기경(1630년경) 영양남씨(英陽南氏)가 입주하였다고 한다. 괴시2리인 관어대(觀魚臺)는 16세기초인 중종(中宗) 연간에 안동권씨(安東權氏)가 입주하였으며 만취(晩翠) 권의철(權宜喆), 취옹(醉翁) 권의협(權宜) 형제분이 마을을 개척하였다고 하며, 관어대란 이름은 목은 이색이 명명했다 한다. 괴시3리인 교동(校洞) 마을은 17세기경 윤태남(尹泰南)이란 분이 마을을 개척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영해부(寧海府)에 속했으며, 갑오개혁(甲午改革) 뒤인 1895년 5월 26일 칙령(勅令) 제98호로 영해군(寧海郡) 읍내면(邑內面) 지역이 되어 호지마 또는 호지촌, 괴시, 입천곡(卄川谷) 등으로 불렀는데, 1914년 3월 1일 일제(日帝)가 총독부령(總督府令) 제111호로 전국의 행정구역을 폐합할 때 어대동(魚臺洞), 교동(校洞)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괴시동이라 하고 영덕군 영해면에 편입되었으며, 그 뒤 1988년 5월 1일 군조례(郡條例) 제972호로 동을 리(里)로 개칭할 때 괴시리가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현재 행정동으로는 괴시1,2,3리로 분동되어 있다. 괴시리의 위치는 동은 망월봉(望月峰)과 대진리와 연해 있고, 남·서는 성내리·벌영리와 접해 있고, 북은 연평리가 있다.

 

 

 

괴시리괴정 (槐市里槐亭)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97호

 

괴정은 영조 42년(1766)에 괴정 남준형이 지은 정자로, ‘경목재(景牧齋)’라 하며 지내던 곳이다. 남준형 선생은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경전과 역사 연구에 전념하면서 후학을 키우는데 여생을 보냈으며, 마을 사람들을 위해 힘써 칭송을 받았다. 남준형의 『괴정유사(槐亭遺事)』와 남용만의 『괴정기(槐亭記)』, 남효채의 『괴정중건기실(槐亭重建記實)』에 기록이 남아 전하고 있다. 또한, 권병섭의 『괴정중건기(槐亭重建記)』에 따르면 순조 17년(1817)에 고쳐 지었고, 남효채의 『괴정중건기실(槐亭重建記實)』에는 고종 13년(1876)에 다시 고쳐 지은 것을 알 수 있으며, 1936년에 보수공사가 있었다. 한국전쟁 뒤에는 야학 학당으로 이용하기도 하였다. 괴정은 이곳 마을 주민들의 보호로 보존하고 있으며, 향토문화자료라는 점에서 가치가 큰 건물이다.

 

 

 

 

 

 

 

 

괴시동 대남댁(槐市洞臺南宅) / 경북문화재자료 제197호

 

1987년 12월 29일 경북문화재자료 제197호로 지정되었다. 1766년(영조 42)에 성균관 생원인 남준형(南晙衡)이 건립했다. 안대청 상부 종도리 및 장혀 부분에 있는 상량문으로 보아 1911년에 중수한 것으로 짐작한다.

 

정면 4.5칸 측면 6.5칸의 ㅁ자형 가옥이며 서향이다. 막돌로 비교적 높게 쌓은 기단 위에 자연석 주춧돌을 놓고 기둥을 세웠다. 3량가(三樑架)로 된 대청의 대들보 밑에는 간단한 보아지가 받쳐져 있다. 안채 오른쪽에서부터 뒤쪽으로 약간 떨어진 곳에 네모나게 담장을 둘렀는데 그 안에 3칸 규모의 사당이 있다. 사당은 전면 툇간에만 두리기둥을 사용한 3량가로, 기둥과 도리 부분에는 간단한 보아지를 끼워 보강하였다.

 

안채는 안대청을 중심으로 왼쪽에 도장방과 안방이 있고 부엌과 연결되었다. 오른쪽에는 샛방과 곳간이 익사(翼舍)를 이루며 사랑과 연결되어 있다. 샛방과 곳간 사이에는 통마루가 있어서 안채 왼쪽의 안방과 연결된다. 중문 오른쪽에 있는 사랑채는 앞에 큰사랑과 사랑마루가 있고 그 뒤로 윗사랑과 아랫사랑이 연접되어서 내부공간이 나뉜다. 중문 왼쪽에는 마구간이 있고 뒤에 곳간이 부엌과 연결되면서 익사를 이룬다. ㅁ자집의 전형을 잘 보여주는 가옥이다.

 

 

 

 

 

 

 

 

괴시리 영은고택 (槐市里瀛隱古宅) / 경북문화재자료 제459호

 

2004년 3월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459호로 지정되었다. 현 소유자 남영국의 5대조인 영은(瀛隱) 남공수(南公壽, 1793~1875)가 1871년에 건립한 민가이다. 당시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으며, 영덕지방의 지역성을 나타내주는 평면구성과 보기 드문 팔작지붕 등이 건축학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정면 4칸, 특면 4칸의 ㅁ자형 집이다.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생가터와 조선시대 전통가옥들이 잘 보존되어 있는 괴시(槐市)마을에 자리 잡고 있다. 괴시마을은 영양남씨의 집성촌이다.

 

 

 

 

 

 

 

 

 

 

 

 

 

괴시동 물소와고택 (槐市洞勿小窩古宅) /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69호

 

2013년 4월 8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69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좌승지에 추증된 물소와(勿小窩) 남택만(南澤萬)이 종가에서 분가할 당시 증손인 남유진(南有鎭)이 창건했다. 현재의 건물은 1924년 중수하였다.

 

야산을 배경으로 정면 7.5칸 측면 5.5칸의 ㅁ자형 목조 기와집이다. 3량가로, 막돌로 된 주춧돌 위에 사각기둥을 세워 대들보를 받고 대들보 밑에는 간단한 S자형 새김의 보아지를 결구하였다. 주출입문은 원래 사랑채 고방과 왼쪽 익사(翼舍) 고방 사이에 있는 중문칸을 이용했으나 현재는 안채의 상방과 사랑웃방 사이에 난 중문을 통해 외부로 연결되도록 담을 텄다.

 

중문간을 들어서면 안마당이 있고 오른쪽에 안대청이 있다. 안대청 오른쪽에는 가묘와 상방이 앞뒤로 이어져 있다. 안대청 왼쪽에는 안방과 웃방이 있고 안방 아래로는 부엌과 아랫방·창고·고방의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중문간 왼쪽에 있는 사랑채는 사랑웃방과 아랫방·사랑마루가 있고 그 뒤로 작은사랑이 있다. 사랑채 앞에는 툇마루가 놓였다.

 

골목에서 바깥마당으로 들어올 때 사랑채의 전면이 여성들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랑마당 오른쪽 모서리에 있는 우물에서 가사작업시에 여성이 노출되는 것을 고려하여 중문간 앞쪽과 담벽에서 중문간 쪽으로 약 6m 가량 담을 쌓았다. 괴시리 마을 중에서 ㅁ자집의 평면·공간 구성이 변화하는 양상을 선명하게 보여주는 가옥이다.

 

 

 

 

 

 

 

 

 

영양남씨괴시파종택 (英陽南氏槐市派宗宅) /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75호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75호. 영양남씨 남붕익(南鵬翼)이 약300년전에 창건했다 하고 1916년 증수하였으며 1984년에 일부 수리가 있었다. 안채와 사당채가 현존한다.안채는 서향하였고 ㅁ자집이나 남쪽으로 사랑채가 부설되면서 날개가 형성되었다. 이는 후에 세워진 것으로 원래는 없었던 듯 하다. ㅁ자 원래의 구조는 단순하다. 대문칸 왼쪽이 방, 고방이고 오른쪽이 사랑방이다.


사랑방 2칸중 윗방으로부터 오른쪽날개가 형성되면서 책방 부엌, 이어 상방 그리고 왼쪽으로 4칸반의 대청, 안방과 부엌으로 이어지던 것이나 지금은 사랑 뒤 책방부터 남쪽으로 방 1칸과 대청 2칸의 사랑채가 부설되었다.


안채 상방은 현재 2칸반 규모인데 원래는 상방 1칸, 마루 1칸반이던 것을 1984년 증수하면서 마루를 뜯고 방을 돌여 변형하였다 한다. 집의 구조나 구성은 평범하다. 사당은 80여년 전에 건축한 것으로 남측에 따로 일곽을 만들고 정 3칸 측면 간반통 맞배지붕의 구조를 하였다. 역시 평범하다.

 

 

 

 

 

 

영덕괴시리사곡댁 (盈德槐市里沙谷宅)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25호

 

영덕 괴시리 마을 내에 있는 사곡댁은 남용(南鎔)이 조선 고종 37년(1900)에 건립한 것을 1942년에 남응호(현 소유자의 아버지)가 매입하였다고 한다. ‘사곡댁’이라는 이름은 현 소유자 남명순(현 소유자)의 할아버지인 남조영의 처가 동네 이름인 경주 사곡을 딴 것이라 한다.

 

이 사곡댁은 정면 4칸·측면 5칸의 ㅁ자형 건물로 자연석 기단과 자연석 주초 위에 네모기둥을 세웠으며, 벽체·기단·굴뚝 등은 시멘트로 덧 발라져 있다.

대문칸을 중심으로 좌측에 1칸 마굿간이 있고, 우측에 아랫방과 사랑대청이 있다. 우익사는 사랑대청과 연결하여 2칸의 사랑방, 반칸의 통래칸으로 되어 있으며, 통래칸과 연접된 사랑방 부분은 당초 고간인 것을 1980년대 경에 방으로 개조하였다. 사랑지붕은 맛배지붕이며 외부에 툇마루를 설치하였다. 좌익사는 마굿간과 연결하여 화장실, 부엌, 안방 등으로 되어 있으나 화장실과 부엌을 현대식으로 일부 변형된 상태이다. 안채는 2칸 대청 좌측에 안방과 도장을 설치하였으나 도장 또한 방으로 개조된 상태이며, 우측에는 상방과 상방 전면에 쪽마루를 설치하고 대청 배면은 판벽으로 마감하였다.

 

상부가구는 3량이며, 사랑방 전면 지붕이 박공으로 되어 있어 특이한 모습을 하고 있다. 현재 이 곳에 거주하는 사람이 없으나 관리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사곡댁이 위치한 괴시리는 400여년 된 영양남씨 단일 집성촌으로, 이 사곡댁은 창건 당시의 모습이 약간 변형되어 있고 건축연대 또한 오래되지 않았으나 대체로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다.

 

 

 

 

 

 

 

 

 

 

영덕 괴시리천전댁 盈德 槐市里川前宅)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78호

 

1999년 12월 30일 경상북도문화재자료 제378호로 지정되었다. 19세기 초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안채·사랑채·문간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안채와 사랑채가 이어지는 U자형의 평면을 이루고 있어 속칭 ‘날개집’이라 불리는 유형에 속한다.


건물의 앞면 우측부분은 사랑채인데 중문칸보다 건물을 높게 세우고 별도의 팔작지붕으로 꾸며 격식을 갖추었으며, 구조는 간략한 수법으로 처리하였다. 현소유자는 남병식(南炳軾)이고, 우순복(禹順福)이 관리자로 지정되어 있다.


고택이 있는 괴시리 마을은 영양남씨(英陽南氏) 씨족마을로 20여 채의 고가옥이 밀집되어 있다. 마을의 동남쪽에는 망월봉(望月峰)으로 이어지는 산이 솟아 있고, 서북쪽으로는 들판이 펼쳐져 있다.


 

 

 

 

 

 

 

 

 

 

 

 

영덕괴시리영감댁 (盈德槐市里令監宅)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24호


영덕 괴시리 마을 내에 있는 영감댁은 호은 남흥수(1813∼1899)가 1847년경 건립하였으며, 1938년에 그의 증손 남대철이 중수하였다고 전해진다. 1950년대까지 대문채, 방앗간, 마굿간이 있었으나 현재는 없어졌다.


이 영감댁은 정면 4칸·측면 6칸의 ㅁ자형 건물로 자연석 기단위에 각주를 세웠다.


대문칸을 중심으로 좌측에 1칸의 방과 우측에 아랫방과 사랑대청이 있다. 우익사는 사랑대청과 연결하여 2칸의 사랑방과 현재 출입문으로 사용하고 있는 1칸의 통래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방 배면에 벽장과 내부와 통하는 문을 두고 툇마루를 설치하였다. 사랑방 전면에는 3칸 모두에 반칸의 툇마루를 두고 소로수장하였다. 좌익사는 대문칸 좌측방과 연결된 고간, 부엌, 안방 등으로 되어 있다. 이 좌측방은 원래 2칸 규모의 고간이었는데 한국전쟁을 전후해서 한칸을 방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안채는 2칸 대청을 중심을 좌측에 2칸 안방과 1칸 도장방을 두었는데 현재는 3칸 모두를 방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우측에는 2칸의 상방을 두고 외부에 툇마루를 설치하였으며, 상방의 내부 뒤편에 감실을 설치하였다.


또한 통래칸과 부엌 상부에 다락을 설치하여 수장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대청 중앙 전·후열 기둥에만 원주를 1본씩 사용하고 벽체는 판벽을 설치하였으며, 상부가구는 3량이다.


영감댁이 위치한 괴시리는 400여년 된 영양남씨 단일 집성촌으로, 이 영감댁은 창건 당시의 모습 일부가 변형되었고 건축연대 또한 오래되지 않았으나 대체로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다.

 

 

 

 

 

 

 

 

                                                                                                                                                   촬영일: 2016년 01월 03일 (일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