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무나무가 있는 유월의 숲
시무나무 / 학명 : Hemiptelea davidii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
산기슭 양지바른 곳이나 하천 유역에서 자라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 모양이거나 타원 모양이다.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둥근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뒷면 맥 위에 털이 나고 곁맥은 8∼15쌍이다. 잎자루는 길이 1∼3mm로서 잔털이 나고 턱잎은 긴 타원 모양이며 일찍 떨어진다.
꽃은 암수한그루이거나 잡성화(雜性花)이며 어린 가지 밑동에 모여 나는데, 5월에 연노랑빛으로 핀다.
꽃자루는 길이 1∼1.5mm이고 털이 없다으며, 열매는 찌그러진 달걀 모양의 시과(翅果)로서 끝이 2개로 갈라지며 6월에 익는다.
건조와 공해에 잘 견디고 기름진 사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가을에 익은 종자를 거두어 한데에 묻어 두었다가 이른봄에 뿌려 번식한다.
어린 잎은 나물로 먹으며 목재는 단단하여 기구재·토목용재 등으로 쓴다. 한국·중국·몽골에 분포한다.
조록싸리(朝鮮木萩:조선목추)
학명 : Lespedeza maximowiczii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관목.
산야에서 자라며 높이는 2∼3m 정도이며 목재는 연한 녹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세 장의작은잎이 나온 잎이며 작은잎은 달걀 모양의 타원형으로 뒷면에 긴 털이 있고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6월에 홍자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총상꽃차례로달리며 밀원식물이다.
꽃받침은 중간 정도로 갈라지고 갈래조각 끝이 바늘같이뾰족하다.
꽃잎에서는 기판이 자적색, 익판이 홍자색, 용골판이 연한 홍색이다.
열매는 협과로 9∼10월에 익고 넓은 바소꼴이며 길이 10∼15 mm로서 끝이 뾰족하고꽃받침과 더불어 털이 있다.
종자는 신장형이며 녹색 바탕에 짙은 갈색 무늬가 있다.
나무껍질은 섬유로, 잎은사료용으로, 줄기는 농가 소공예품을 만드는 데 쓰인다.
잎과 가지를 해열 ·이뇨제로 사용한다. 한국·일본에 분포한다.
흰조록싸리(for. albiflora)는 백색꽃이 달리고, 삼색싸리(var. tricolor)는 백색의 기판과 자주색 익판 및 홍색용골판이 특이하며 한국 진도에서 자란다.
조록싸리와 관련한 용어 해설
기판(旗瓣 , 基瓣)
콩과식물에서 나비모양 꽃부리를 구성하는 꽃잎의 일종.
또는 콩과식물의 꽃잎 가운데서 가장 크고 위쪽에 달려 있는 것.
자색(紫色)
자주색(짙은 남빛을 띤 붉은색).
익판(翼瓣)
나비처럼 생긴 꽃잎. 콩, 팥 따위의 콩과 식물에서 볼 수 있다.
홍자색(紅紫色)
여러 가지 꽃의 아름다운 색깔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골판(龍骨瓣)
콩과 식물의 꽃에서 제일 아래쪽에 있는 두 장의 꽃잎. 나비 모양을 하고 있다.
큰엉겅퀴 / 학명 : Cirsium pendulum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숲 가장자리와 강가의 습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1∼2m이며윗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세로로 줄이 있으며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뿌리에서 나온 잎과 줄기 밑 부분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때 말라 없어지고 타원모양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밑 부분이 잎자루의 날개가 되고깃 모양으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줄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다.
줄기중간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의 타원 모양이며 끝이 길고 뾰족하며 잎자루가없고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진다.
꽃은 7∼10월에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두상화(頭狀花:꽃대 끝에 꽃자루가 없는작은 꽃이 많이 모여 피어 머리 모양을 이룬 꽃)가 밑을 향하여 달린다.
두상화는자주색이고 지름이 3∼4cm이다.
총포는 달걀 모양이고 길이가 2cm이며 끈끈한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총포 조각은 8줄로 배열하고, 가운데 있는 조각은 줄 모양이며 뒤로 젖혀진다.
화관은 길이가 12∼22mm이고, 관모는 검은빛을 띤 갈색이며 길이가 18∼22mm이다.
열매는 수과이고길이 3mm의 긴 타원 모양이며 4개의 모가 난 줄이 있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한방에서는 식물체 전체를 대계(大 )라는 약재로 쓰는데, 각혈·코피·자궁 출혈·소변 출혈·종기와 급성간염으로 인한
황달 등에 효과가있다. 민간에서는 뿌리를 신경통에 사용한다. 한국·일본·중국북동부·사할린·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파리풀
학명 : 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파리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산과 들의 약간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높이 50∼70cm이다.
포기 전체에 털이 나며 줄기가 곧게 서고 줄기의 마디 바로 윗부분이 특히 굵어진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 7∼9cm, 너비 4∼7cm로 잎자루가 길다.
양면에 털이 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7∼9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고 수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차례는 길이 10∼20cm로서 줄기나 가지 끝에 달린다.
포는 좁은 달걀 모양이고 꽃받침보다 짧다. 꽃
받침은 통처럼 생기고 2개의 입술 모양이며 윗입술은 길고 3개로 갈라지고 아랫잎술은 짧으며 2개로 갈라진다.
화관은 꽃받침과는 반대로 윗입술이 얕게 2개로 갈라지고 아랫입술이 3개로 갈라진다.
4개의 수술 중 2개는 길고 암술은 1개이다. 씨방은 1실이고 암술머리는 2갈래이다.
꽃이 진 다음 작은꽃줄기는 밑으로 굽어서 거꾸로 달린다.
열매는 삭과(蒴果)로서 끝부분이 갈고리 모양이며 10월에 익는다. 1개의 종자가 들어 있고 꽃받침으로 싸인다.
유독식물로서 뿌리의 즙을 종이에 먹여서 파리를 죽이기 때문에 파리풀이라고 하며,
뿌리 또는 포기 전체를 짓찧어서 종기·옴, 벌레 물린 데 등에 붙이면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한국·일본·중국·히말라야산맥·동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우단담배풀(Common mullein)
학명 : Verbascum thapsus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현삼과의 두해살이풀.
잎에 털이 우단(겉에 고운 털이 돋도록 짠 부드러운 비단)처럼 빽빽하고, 재배하는 담배를 닮은 풀이라는 뜻의 이름이다.
원산지가 유럽인 외래식물이며, 두해살이풀이다.
높이는 100~200㎝이다. 독립적으로 자라기도 하지만 사람의 간섭이 없는 곳에서는 큰 군락을 이루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긴 타원형이며, 끝은 둔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길이는 12~40㎝, 폭은 3~15㎝이다. 밑부분이 잎자루로 흐르면서 날개로 된다.
어린 잎일수록 양면에 우단 같은 털이 많이 덮여 있어서, 만져보면 매우 부드럽다.
꽃은 6~9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 노란색으로 촘촘히 피며, 수상꽃차례를 이룬다.
꽃받침에 별모양털이 많다. 꽃잎은 5개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겉면에 별모양털이 많다.
수술은 5개이다. 그중 위쪽 3개는 수술대에 흰색 털이 수북하고 꽃밥이 짧으며, 아래쪽 2개는 털이 없고 꽃밥이 크다. 암술대는 1개이다.
열매는 여러 개의 방에서 튀어나오는 삭과(蒴果)이고, 길이가 0.7㎝인 구형이다. 털로 덮이고 꽃받침에 싸여 있다.
우단담배풀은 재배하는 담배와 비교할 때, 잎에 부드러운 털이 빽빽하고 꽃이 노란색인 점이 다르다.
꼬마붉은열매지의
학명 : Cladonia macilenta Hoffm
영국병정이 붉은 베레모를 쓰고 있는 모습을 연상 시킨다하여 영국병정지의(British Soldiers)라는 이름으로 불러왔던 지의류이다.
지의류는 균류와 조류가 조합을 이루어 상리공생하는 식물군을 말하며, 흔히 이끼류로 오인하기 쉬우나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균체라고 부르는 곰팡이류의 균사로 형성된 기질 안에 지의조라고 부르는 수백만개의 조류가 엮어져 있다는것이다.
참조팝나무 / 학명 : Spiraea fritschiana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관목.
참조팝나무는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1.5m 내외이고, 가지는 모서리각이 있으며 털이 없고 자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의 타원형으로 양 끝이 좁아들며 중앙 이하에는 톱니가 없고 뒷면에 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7∼9mm이며 흰색 바탕에 연분홍색이 돌고 복산방꽃차례를 이룬다.
꽃이삭은 지름 10cm 정도이고 꽃받침조각은 뒤로 젖혀진다. 꽃잎은 둥글고 수술은 꽃잎 길이의 2배 정도이다.
씨방은 4∼5개이며 수술의 밑부분과 더불어 연한 홍색이다.
골돌(利咨)에는 복봉선 이외에 털이 없으며 10월에 익는다. 한국(중부 이북)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미역줄나무 / 학명 : Tripterygium regelii
쌍떡잎식물 노박덩굴목 노박덩굴과의 낙엽 덩굴식물.
메역순나무라고도 한다. 산기슭이나 골짜기 또는 숲 속에서 무리 지어 자란다.
길이는 2m이고, 가지는 적갈색이며 혹 모양의 돌기가 빽빽이 나고 5개의 모가 난 줄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5∼15cm의 달걀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이며 밝은 녹색이고
뒷면의 맥 위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가 1.5∼3cm이다.
꽃은 6∼7월에 흰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 또는 가지 끝에 길이 10∼25cm의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의 지름은 5∼6mm이고,
꽃받침조각·꽃잎·수술은 5개씩이며, 암술은 1개이고, 씨방은 3실이고 삼각형이다.
열매는 시과이고 넓은 바소 모양이며 연한 녹색이지만 흔히 붉은빛이 돌고 9∼10월에 익으며 3개의 날개가 있다.
날개는 끝이 오목하고 길이와 폭이 각각 12∼18mm이다. 한국·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좀깨잎나무(Spicata ramie)
학명 : Boehmeria spicata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쐐기풀과의 반관목.
산골짜기 시내 근처와 돌담 또는 숲가장자리에서 흔히 군생한다.
높이 50∼100 cm이며 무더기로 나오고 붉은빛이 돈다.
잎은 마주달리고 사각상 달걀 모양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어지고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5∼6개씩 있다.
잎 표면은 누운 털, 뒷면은 맥에만 털이 있다.
한 마디에 달리는 잎은 한쪽이 작은 것이 많다.
꽃은 7∼8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1가화이고 수상꽃차례이다.
수꽃이삭은 밑에 달리고 암꽃이삭은 위쪽에 달린다.
수꽃은 4개씩의 화피갈래조각과 수술이 있고 암꽃은 여러 개가 모여서 같이 달리며 통 같은 화피 안에 씨방이 1개씩 들어 있다.
열매는 수과(瘦果)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긴 모양으로 10월에 익는다.
껍질은 섬유가 발달되어 섬유자원으로 이용하고, 어린순은 나물로 한다. 한국·중국·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털중나리 / 학명 : Lilium amabile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 50∼100cm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윗부분이 약간갈라지며 전체에 잿빛의 잔털이 난다.
비늘줄기는 길이 2∼4cm, 지름 15∼25mm로달걀 모양 타원형이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이거나 바소꼴이며 길이 3∼7cm, 나비 3∼8mm이다.
둔한 녹색이고 끝이 뭉뚝하거나 뾰족하며 양면에 잔털이 빽빽이 난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자루가 없으며 위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진다.
꽃은 6∼8월에 피는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1∼5개씩 밑을 향하여 달린다.
화피갈래조각은 바소꼴이고 6개이며 길이 4∼7cm, 나비 10∼15mm이다.
뒤쪽으로젖혀지고, 안쪽에는 검은빛 또는 자줏빛 반점이 있다.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은모두 꽃 밖으로 길게 나온다.
꽃밥은 노란빛을 띤 빨간색이며, 길이 10∼13mm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달걀 모양의 넓은 타원형이고 9∼10월에 익는다. 종자는 갈색이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이른봄 비늘줄기를 식용하고 참나리와 함께 약재로도 쓴다. 한국, 중국 북동부에 분포한다.
촬영일 : 2019년 06월 17일(월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