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월의 야생화 모음
뽀리뱅이 / 학명: Youngia japonica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보리뱅이·황가채·박조가리나물이라고도 한다. 길가 또는 다소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보통 1개 또는 2개이다. 높이 15∼100cm이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로제트형으로 비스듬히 퍼지고 거꾸로 세운 바소꼴이며 무잎처럼 갈라진다. 끝의 갈래조각이 제일 크고 옆갈래조각은 밑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진다. 줄기에는 잎이 없거나 1∼4개가 달리고 깃꼴로 갈라지며 뿌리에서 나온 잎과 비슷하다.
꽃은 5∼6월에 피고 두화(頭花)는 산방상 원추꽃차례로 달리며 노란색이다. 꽃이 햇빛을 보면 피고 저녁에는 닫는 습성이 있다. 총포는 좁은 원기둥 모양이고 길이
4∼5mm로 포조각이 2줄로 배열되며 5∼6개의 작은꽃이 들어 있다. 화관은 노란색이며 통부는 윗부분에 털이 있다. 열매는 장과로서 갈색이며 능선이 있고 관모는
흰색이다.
나무딸기 / 학명: Rubus idaeus var. concolor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교목.
키 작은 낙엽활엽수로서 줄기와 가지에 바늘 같은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며 뒤쪽에 털이 없다. 잎조각은 긴달걀형으로 3매로 되어 있으며 끝은 뾰족하고 밑동은
둥글다. 잎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흰색이며 6~7월에 피는데, 잔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꽃지름은 1.5cm 내외이며 꽃잎은 5장이다. 열매는 둥글고 납작하며 지름 2cm
정도이다. 빨간색이나 자주색, 혹은 검은색으로 익는다. 비타민 C와 철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달콤새콤하여 입맛을 돋운다. 잼이나 젤리를 만들거나 술에 넣어
향기를 내는 데 쓰인다.
번식은 줄기의 끝부분을 잘라 땅속에 심었다가 이듬해 봄에 뿌리가 내리면 옮겨 심거나 잎눈을 떼어내어 번식시키기도 한다.
국수나무 / 학명: Stephanandra incisa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활엽 관목.
수국(繡菊)이라고도 한다.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는 1∼2m이고 가지 끝이 밑으로 처지며, 잔가지는 둥글고 잔털 또는 선모가 있다. 턱잎은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바소꼴이다. 잎은 길이 2∼5cm로 어긋나고 세모진 넓은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표면에는 털이 없거나 잔털이 있고 뒷면 맥 위에 털이 있으며 잎자루의 길이는 3∼10cm이다.
5∼6월에 지름 4∼5mm의 연한 노란색 꽃이 새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잎은 끝이 날카롭다. 꽃잎은 5개이고 수술은 10개로 꽃잎보다 짧다. 열매는 둥글거나 달걀 모양이고 잔털이 많으며 8~9월에 익는다.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으며 양봉 농가에서는 밀원식물로 쓴다.
잎이 같은 모양으로 5갈래로 갈라져서 나비같이 되는 것을 나비국수나무(var. quadrifissa)라 하며 경기도(수락산), 제주도에 분포한다.
꽃마리 / 학명: Trigonotis peduncularis
쌍떡잎식물 꿀풀목 지치과의 두해살이풀.
잣냉이라고도 한다. 들이나 밭둑, 길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높이가 10∼30cm이고 전체에 짧은 털이 있으며 밑 부분에서 여러 개로 갈라진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 뭉쳐나며 달걀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이다. 줄기에서 나온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 모양 또는 긴 달걀 모양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자루가 없다.
꽃은 4∼7월에 연한 하늘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차례는 윗부분이 말려 있는데, 태엽처럼 풀리면서 아래쪽에서부터 차례로 꽃이 핀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삼각형이고 털이 있다. 화관은 지름이 2mm 정도이고 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5개이다.
열매는 4개의 분과로 갈라지는 분열과이고 짧은 자루가 있으며 꽃받침으로 싸여 있다. 분과는 매끄럽고 위가 뾰족하다. 어린순을 나물로 한다.
선씀바귀 / 학명: Ixeris chinensis var. strigosa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길가나 건조한 풀밭에서 자란다. 줄기는 밑동에서 여러 개가 나오고 흰색을 띠며 높이가 20∼50cm이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길이 8∼24cm의 거꾸로 세우 바소꼴
또는 거꾸로 세운 바소꼴의 긴 타원 모양이며 밑 부분이 좁어져 잎자루가 되고 가장자리는 톱니가 있거나 깃꼴로 갈라진다. 줄기에 달린 잎은 1∼2개이고 길이가 1∼4cm이며 밑 부분이 줄기를 감싼다.
꽃은 5∼6월에 피어나는데 꽃잎은 흰색이지만 가장자리에 아주 연하게 붉은 색을 띤다. 줄기 끝에 20개의 두상화(頭狀花:꽃대 끝에 꽃자루가 없는 작은 꽃이 많이
모여 피어 머리 모양을 이룬 꽃)가 산방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두상화는 지름이 2∼2.5cm이고 길이 12mm의 작은 꽃이 23∼27개 있다. 총포는 길이가 9∼10mm이고
포 조각이 2줄로 배열한다.
열매는 수과이고 길이가 5.5∼7mm이며 10개의 모가 난 줄이 있고, 관모는 흰색이며 길이가 6mm이다. 뿌리와 연한 식물체를 나물로 먹는다. 한국·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이고들빼기 / 학명: Youngia denticulata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
산과 들의 건조한 곳에서 자란다. 높이 30∼70cm이다. 줄기는 가늘고 자줏빛이다. 가지가 퍼지며 자르면 즙이 나온다. 뿌리에 달린 잎은 주걱 모양이며 꽃이 필 때
스러지고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없다. 잎 길이 6∼11cm, 나비 3∼7cm이며 끝은 둔하다. 밑부분은 귀처럼 되어 줄기를 반쯤 감싸고,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
꽃은 8∼9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두화는 지름 15mm 정도로서 산방꽃차례로 달리는데, 꽃이 필 때는 곧게 서고 진 다음 밑으로 처진다. 총포는 좁은 통처럼 생기고
총포조각은 긴 타원 모양 바소꼴로서 2줄로 늘어선다. 안조각은 줄 모양이며 8개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서 갈색이나 검은색이며 12개의 능선이 있다.
관모는 흰색이며 길이 약 3.5mm이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한국·일본·중국·인도차이나에 분포한다. 잎이 깃처럼 갈라지는 것을 강화이고들빼기(for. pinnatipartita)라고 한다.
전호 / 학명: Anthriscus sylvestris HOFFM.
미나리과
여러해살이풀로서 높이는 1m에 이르고, 줄기는 곧게 서서 여러 개의 가지를 치며 온몸이 밋밋하고 털이 없다. 잎은 두 번에 걸쳐 세 갈래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다시 깃털 모양으로 가늘게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의 끝은 뾰족하고 일반적으로 잎 가장자리는 밋밋한데 때로는 약간의 톱니가 나는 경우도 있다.
가지 끝에서 6~12대의 꽃대가 가지런히 자라나 작은 꽃이 무수히 뭉쳐 우산 꼴을 이룬다. 5장의 꽃잎이 달린 흰색 꽃은 지름이 3~4mm 정도이다. 꽃이 핀 뒤에 길쭉한 생김새의 검고 윤기 나는 씨가 맺힌다.
어수리 / 학명: Heracleum moellendorffii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
산과 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70∼150cm이며 속이 빈 원기둥 모양이고 세로로 줄이 있으며 거친 털이 있고 굵은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3∼5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며 털이 있고 줄기 위로 올라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지며 밑 부분이 넓어 줄기를 감싼다.
끝에 달린 작은잎은 심장 모양이고 3개로 갈라지며, 옆에 달린 작은잎은 넓은 달걀 모양 또는 삼각형이고 길이가 7∼20cm이며 2∼3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깊이 패어 들어간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복산형꽃차례을 이루며 달린다. 꽃차례는 20∼30개의 꽃자루가 다시 작은꽃자루로 갈라져서 각각 25∼30개의
꽃이 달린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달린 꽃이 가운데에 달린 꽃보다 크다. 꽃잎은 6개이고 크기가 서로 다른데, 바깥쪽의 꽃잎이 안쪽 꽃잎보다 크다.
열매는 분과(分果:분열과에서 갈라진 각 열매)이고 길이 7mm의 편평한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윗부분에 독특한 무늬가 있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천남성(天南星) / 학명: Arisaema amurense var. serratum
외떡잎식물 천남성목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의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15~50cm로 외대로 자라고 굵고 육질이다. 알줄기는 편평한 공 모양이며, 주위에 작은 알줄기가 2∼3개 달리고 윗부분에서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줄기의 겉은 녹색이지만 때로는 자주색 반점이 있고 1개의 잎이 달리는데 5~11개의 작은잎으로 갈라진다. 그 작은잎은 달걀 모양의 바소꼴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바소꼴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5∼7월에 피고 단성화이며, 포의 통부는 녹색이고 윗부분이 앞으로 구부러진다. 꽃대 상부가 곤봉 모양이나 회초리 모양으로 발달하는 것도 있다.
열매는 장과(漿果)로 옥수수처럼 달리고 10월에 붉은색으로 익는다.
알줄기는 거담·진경·소종·거풍 등의 효능이 있어 중풍·반신불수·상풍·종기 등에 사용한다. 유독성 식물이다. 한국·중국 동북부에 분포한다. 포가 자주색 또는
보라색이고 세로로 흰 줄이 있는 것을 남산천남성(var. violaceum), 작은잎에 톱니가 없고 포가 녹색인 것을 둥근잎천남성(var. typicum)이라고 한다.
닥나무(paper mulberry) / 학명: Broussonetia kazinoki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뽕나무과의 낙엽활엽 관목.
저상(楮桑)이라고도 한다. 아시아가 원산지이고 산기슭의 양지쪽이나 밭둑에서 자란다. 높이는 3m에 달하고 작은 가지에 짧은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나무 껍질은 회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가 5∼20cm이며 달걀 모양 또는 긴 달걀 모양이고 끝 부분이 길고 뾰족하며 밑 부분은 둥글다. 잎 가장자리는
톱니가 있고 2∼3개로 깊게 패어 들어갔다. 앞면은 거칠고 뒷면에는 짧은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잎자루는 1∼2cm이고 꼬부라진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꽃은 암수한그루이고 봄에 잎과 같이 핀다. 수꽃이삭은 길이 1.5cm의 타원 모양이고 어린 가지 밑 부분에 달린다. 수꽃의 화피 조각과 수술은 각각 4개이다.
암꽃이삭은 둥글고 가지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암꽃의 화피는 통 모양이고 끝이 2∼4개로 갈라진다. 씨방에 실 같은 암술대가 있다.
열매는 핵과이고 둥글며 6~7월에 붉은빛으로 익는다. 한방에서 열매를 양기 부족·수종의 치료제로 쓴다. 어린 잎은 식용한다. 옛날에는 닥나무 껍질의 섬유로
저포(楮布)라는 베를 짰다. 닥나무를 종이 원료로 사용한 것은 고려시대부터인데 조선시대에 본격화되어 닥나무 재배를 장려하였다.
닥나무를 이용해 종이를 만들려면 먼저 줄기를 1∼2m 길이로 잘라 밀폐된 솥에 넣고 증기로 두 시간 정도 찐 다음 꺼내어 껍질을 벗긴다. 이것을 그대로 말린 것을
흑피(黑皮)라 하고, 흑피를 물에 불려서 표피를 긁어 벗긴 것을 백피(白皮)라 한다. 흑피는 하급지의 원료로 쓰이고 백피는 창호지·서류용지·지폐 등의 원료로 쓰인다.
벼룩나물 / 학명: Stellaria alsine var. undulata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중심자목 석죽과의 두해살이풀.
개미바늘이라고도 한다. 논둑이나 밭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 15∼25cm로 털이 없고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퍼지기 때문에 커다란 포기로 자란 것처럼
보인다.
가는 실 모양의 줄기가 뿌리 근처에서 갈라져서 지면을 긴다. 잎은 마주나고 1개의 엽맥이 있으며 측맥은 뚜렷하지 않다.
잎자루가 없으며 긴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고 회록색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4∼5월에 피고 양성(兩性)이며 취산꽃차례[聚揀花序]를 이룬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바소꼴로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가 막질로 3mm 정도이고 털이 없다.
꽃잎은 5개로 꽃받침과 길이가 같고 2개로 깊게 갈라지지만 나중에 피는 꽃 중에는 없는 것도 있다. 수술은 6개, 암술은 1개이며,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타원형이고 꽃받침과 길이가 비슷하며 6개로 갈라진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는다.
자운영(紫雲英) / 학명: Astragalus sinicus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두해살이풀.
연화초(蓮花草)·홍화채(紅花菜)·쇄미제(碎米濟)·야화생이라고도 한다. 중국 원산으로 논·밭·풀밭 등에서 자란다.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옆으로 자라다가 곧게
서서 높이 10∼25cm가 된다. 줄기는 사각형이다.
잎은 1회깃꼴겹잎이고 작은잎은 9∼11개이며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거나 파진다. 잎자루는 길며 턱잎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다.
꽃은 4∼5월에 피고 길이 10∼20cm의 꽃줄기 끝에 7∼10개가 산형(傘形)으로 달리며 홍색빛을 띤 자주색이다. 꽃받침은 흰색 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5개의 톱니가 있고
수술은 10개 중 9개가 서로 달라붙으며 씨방은 가늘며 길다.
열매는 협과로 꼭지가 짧고 긴 타원형이며 6월에 익는다. 꼬투리는 검게 익고 길이 2∼2.5cm로서 2실이다. 꼬투리 속에 종자가 2∼5개 들어 있고 납작하며 노란색이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하며, 풀 전체를 해열·해독·종기·이뇨에 약용한다. 뿌리에 뿌리혹박테리아가 붙어서 공중질소를 고정시키며 꽃은 중요한 밀원식물이다. 남쪽에서
녹비로 재배한다.
엉겅퀴 / 학명: Cirsium japonicum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가시나물이라고도 한다.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50∼100cm이고 전체에 흰 털과 더불어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뿌리잎은 꽃필 때까지 남아 있고 줄기잎보다 크다. 줄기잎은 바소꼴모양의 타원형으로 깃처럼 갈라지고 밑은 원대를 감싸며 갈라진 가장자리가 다시 갈라지고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와 더불어 가시가 있다. 꽃은 6∼8월에 피고 자주색에서 적색이다. 가지와 줄기 끝에 두화가 달린다. 총포의 포조각은 7∼8열로 배열하고
안쪽일수록 길어진다. 관모는 길이 16∼19mm이다. 연한 식물체를 나물로 하고 성숙한 뿌리를 약용으로 한다. 열매는 수과로 3.5∼4mm이다.
한국·일본·중국 북동부 및 우수리에 분포한다. 잎이 좁고 녹색이며 가시가 다소 많은 것을 좁은잎엉겅퀴, 잎이 다닥다닥 달리고 보다 가시가 많은 것을 가시엉겅퀴
백색 꽃이 피는 것을 흰가시엉겅퀴라고 한다.
노린재나무 / 학명: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쌍떡잎식물 감나무목 노린재나무과의 낙엽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1∼3m이다. 나무껍질은 세로로 갈라지고 가지는 퍼져 나며 작은가지에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의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며 노란색이다. 끝으로 갈수록 점차 뾰족해지며 길이 3∼7cm, 나비 3∼4cm이다. 잎 앞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뒷면에는 털이 나거나없고
작은 톱니가 있으나 때로 뚜렷하지 않다. 잎자루는 길이 3∼8mm이다.
5월에 흰 꽃이 피는데, 새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꽃차례는 길이 4∼8cm이다. 포는 줄 모양이며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로 일찍 떨어진다.
꽃받침과 화관은 5갈래로 갈라지며 화관의 지름은 7∼8mm이다. 꽃대에는 털이 나고 꽃잎은 긴 타원형이며 수술은 여러 개이다. 열매는 타원형이고 길이 8mm 정도
이며 9월에 짙은 파란색으로 익는다.
열매가 흰색으로 익는 것은 흰노린재(var. leucocarpa)라고 하는데, 강원도에서 자란다. 정원수로 심으며 한국·일본·중국·히말라야산맥 등지에 분포한다.
졸방제비꽃 / 학명: Viola acuminata
쌍떡잎식물 측막태좌목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
산록 양지에서 자란다. 무더기로 자라서 높이 20∼40cm이고 줄기는 곧게 서며 전체에 털이 다소 있다. 잎은 어긋나고 삼각상 심장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턱잎에 빗살 같은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연한 자줏빛이 돈다. 포는 꽃줄기 윗부분에 달리고 선형이다.
부속체는 반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끝이 오목하다. 꽃잎은 측편 안쪽에 털이 있다. 꿀주머니는 둥근 주머니 모양이다. 열매는 7∼8월에 결실하며 삭과로
달걀 모양이다. 어린순을 나물로 한다. 한국·일본·중국에 분포한다. 털이 꽃잎 안쪽에만 있는 것을 민졸방제비꽃(for. glaberrima)이라 한다.
큰구슬붕이 / 학명: Gentiana zollingeri
쌍떡잎식물 용담목 용담과의 두해살이풀.
산과 들의 숲 속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5∼10cm이며 모가 난 줄과 잔 돌기가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5∼12mm의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달걀 모양
이며 밑 부분이 합쳐져서 짧은 잎집이 된다. 잎 가장자리는 두껍고 흰색이며 잔 돌기가 있고, 잎 뒷면은 흔히 붉은빛이 도는 자주색이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다른 잎
보다 작고 옆으로 퍼지지 않는다.
꽃은 5∼6월에 자주색으로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 몇 개씩 모여 달린다. 꽃받침은 통 모양이고 길이가 5∼7mm이며 끝이 통 부분의 반까지 깊게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넓은 바소꼴이다. 화관은 종 모양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 사이에 작은 부편이 있다. 꽃이 진 다음에도 화관은 떨어지지 않고 열매 표면에
남아 있다.
열매는 삭과이고 긴 자루가 있으며 2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양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이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 전체를 석용담(石龍膽)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충수염·결핵성림프선염에 소염 효과가 있고, 종기·악창·안구 충혈에 사용한다.
동아시아 지역의 온대 지방에 널리 분포한다. 비슷한 종인 구슬붕이(G. squarrosa)와 비교하면, 뿌리에서 나온 잎이 방석처럼 퍼지지 않고 줄기에 달린 잎보다 작으며 꽃받침 조각이 뒤로 젖혀지지 않는 것이 다르다.
민눈양지꽃 / 학명: Potentilla yokusaiana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깊은 산의 반음지에서 자란다. 높이는 10∼20cm이고, 기는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는다. 잎은 세 장의 작은잎이 나온 잎이고, 뿌리에서 나온 잎은 잎자루가 길며
줄기에서 나온 잎은 잎자루가 짧다. 작은잎은 잎자루가 없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가 1.5∼4cm, 폭이 1.2∼3cm이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흰색의 누운
털이 있다. 턱잎은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다.
꽃은 5∼6월에 노란 색으로 피고 2∼3개로 갈라진 꽃줄기 끝에 1개씩 달린다. 꽃줄기는 높이가 10∼20cm이고, 꽃의 지름은 15∼20mm이다. 꽃받침조각은 넓은 바소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부악편은 5개이고 줄 모양의 바소꼴이다. 꽃잎은 5개이고 넓은 심장 모양이며 길이가 꽃받침조각의 1.5배이다. 암술대는 길이가 2mm이다.
열매는 수과이고 털이 없다.
싸리냉이 / 학명: Cardamine impatiens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겨자과의 두해살이풀.
싸리황새냉이라고도 한다. 산기슭의 그늘진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약 50cm이다. 포기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나고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에 달린 잎은 어긋나며
1회 깃꼴겹잎이고 길이 약 10cm이다. 갈래조각은 5∼11개이고 가장자리가 둔한 톱니 모양으로 갈라진다. 줄기에 달린 잎은 잎자루 밑부분의 작은 잎조각이 원줄기를 감싸고, 작은잎은 다시 깃처럼 3∼5개로 갈라진다.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고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은 4장이며 줄 모양의 긴 타원형이다.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으로서 꽃받침보다 길다.
수술 4개,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장각과(長角果)로서 길이 2∼3cm이며, 작은열매자루에서 굽어서 위로 향하고, 봉선화 열매처럼 탄력에 의하여 터진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의 온대 지방, 유럽에 분포한다.
노루삼 / 학명: Actaea asiatica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의 나무 그늘에서 자란다. 높이 60∼70cm이다. 뿌리줄기는 짧고 크며 수염뿌리가 많다. 줄기는 곧게 서며 잎은 어긋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2∼4회 3장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이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 바소꼴로 끝이 뾰족하고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다. 크기는 길이 4∼10cm, 나비 2∼6cm이다.
꽃은 흰색으로 6월에 피고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차례의 길이는 3∼5cm이다. 화관은 작고 꽃잎은 넓은 주걱 모양으로 4개이며 길이 약 3mm이다.
꽃받침조각은 4개인데 일찍 떨어진다. 수술은 여러 개로 길이 4mm 정도이다. 열매는 장과로 공 모양이며 8월에 검은빛으로 익는다.
열매가 붉은빛 또는 흰빛인 것을 붉은노루삼(A. erythrocarpa)이라고 한다. 한국(제주도 제외)·일본·중국·헤이룽강 등지에 분포한다.
철쭉 / 학명: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진달랫과에 속한 낙엽 관목.
윗쪽에 피는 꽃에는 붉은 자주색 반점이 있다. 꽃자루와 씨방에 끈끈한 잔털이 있어 만져보면 끈적하다. 꽃이 아름다워 발걸음을 머뭇(척, 躑) 머뭇(촉, 觸)하게 한다고 철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