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풍경사진 678

겨울 길목에서

2021년 신축년 (辛丑年)의 달력도 달랑 한 장을 남겨놓은 채 어제 하루 내린 비는 그치고 피부에 와 닿는 한기(寒氣)가 부쩍 느껴지는 12월의 첫 날이다. 2019년 12월 중국 우한시에서 발생한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 '우한 폐렴',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코로나19'라고도 불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가 2년이란 길고도 길게만 느껴지는 시간들 발목을 묶어 놓은듯 한데 또 다시 이름도 생소한 오미크론(Omikron) 이란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가 등장한 가운데 세상을 어수선하게 만들어가고 있는 현실인것 같다. 이제 우리는 어떻게 해야만 하나? 이대로 주저앉을수 만은 없다. 지금껏 잘해온 만큼 건강관리에 집중하고 마지막 남은 한 달 슬기롭게 대처하며 지나다가 보면 또 다시..

청송 주산지(靑松 注山池)

주산지는 말이 없고 물안개는 피어오르고 있었다. 그동안 나는 어디에서 무얼하고 있었는가? 가을단풍 다 지고 길 옆 과수원의 사과나무들 열매 흔적없이 사라진 모습에서 이 가을도 함께 떠나가려 하고 있는 모습으로 내 앞에 우뚝서 있는 느낌이었다. 송고(松古) 버섯 표고 중 최상급인 백화고를 개량한 종으로 머리는 표고버섯, 기둥은 송이버섯을 닮고 맛은 표고버섯의 진한 향과 송이버섯의 식감과 비슷하다 하여 송고(松古) 버섯이라고 하며 송화, 송이향, 고송버섯이라고도 불린다. 저온성 표고종으로 최고 등급인 백화고를 개량 발전시킨 종으로 송이버섯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고 한다. 머리는 표고버섯, 기둥은 송이버섯을 닮고 맛은 표고버섯의 진한 향과 송이버섯의 식감과 비슷하다 하여 송고버섯이라 명명하였으며 송화, 송이향,..

억새와 갈대

억새 외떡잎식물 벼목 벼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미스칸투스 시넨시스 바. 푸르푸라센스)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1∼2m로, 뿌리줄기는 모여나고 굵으며 원기둥 모양이다. 잎은 줄 모양이며 길이 40∼70cm, 너비 1∼2cm이다. 끝이 갈수록 뾰족해지고 가장자리는 까칠까칠하다. 맥은 여러 개인데, 가운데맥은 희고 굵다. 밑동은 긴 잎집으로 되어 있으며 털이 없거나 긴 털이 난다. 뒷면은 연한 녹색 또는 흰빛을 띠고 잎혀는 흰색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상태)이며 길이 1∼2mm이다. 꽃은 9월에 줄기 끝에 부채꼴이나 산방꽃차례로 달리며 작은이삭이 촘촘히 달린다. 꽃차례 길이는 10∼30cm이고 가운데축은 꽃차례 길이의 절..

산나물 들나물

4월 한 달 동안 주말마다 오르내려 본 해발 고도 1,124m의 높은산 꼭대기에도 야생화가 뜸해질 무렵이다. 바닷가 모래밭에 꺾어 꽂아 놓은듯 노란색의 갯씀바귀 꽃이 필무렵이기도 했다. 한참을 잊고 산과 들을 찾아다녔더니 그 산꼭대기에서 만났던 한 분의 말씀을 듣고 갯봄맞이꽃을 찾아 나섰더니 정보가 부족했던지 찾지는 못하고 통보리사초, 좀보리사초를 찾아 이리저리 백사장 근처를 서성거리다가 꽃망울 맻혀있는 갯방풍이 나타났다. 내가 좋아하는 나물 종류중의 하나였는데 이른봄 할인마트 매장에서 판매하는 봄나물로 두 차례나 구입해 먹어 본 매력적인 맛과 향이 생각나서 몇 개를 잘라보았다. 갯방풍 바닷가 모래땅에서 잘 자라는 산형과의 풀이며 초여름에 흰색의 꽃을 피운다. 학명 : Glehnia littoralis ..

사월의 봄 빛과 풍경

완두콩 빛깔과 같이 연한 초록색 연두색(軟豆色) 풍경(風景) 연두색은 완두콩의 빛깔과 같이 연한 초록색을 말하며 색채 이미지는 휴식이나 편안함, 신선함을 느끼게 하며 봄이나 초여름의 자연을 상징하기도 한다. 새싹이나 어린이 자연등의 이미지를 나타내기도 하고 치료면에서는 위안이나 피로회복 등의 효과가 있다고도 알려져있다. 심리적으로는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정신의 평화를 갖게도 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햇 살이 화사한 봄날의 주말 하루 연두색 풍경따라 계곡을 걸어보고 높은산 위에 올라가 그 모습들을 느껴보기도 한 멋진 봄날의 하루 풍경이기도 했다. 이건 무슨 이끼일까? 이름은 알 수가 없었지만 난 이런 모습들이 좋다. 연두색이 우리에게 안겨주는 편안함은 이유가 있었구나! 이제 막 피어나기 시작하는 당개지치도 잡..

명암(明暗)

참여로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Veratrum nigrum var. ussuriense (베라트룸 니그룸 바. 유수리엔스) 큰여로·왕여로라고도 한다. 산지의 나무 아래에서 자라며, 높이 1∼1.5m 정도 이다. 굵은 수염뿌리가 있으며 뿌리줄기는 짧다. 밑동에는 묵은잎이 그물처럼 생긴 섬유로 싸인다. 잎은 줄기 아랫부분에 어긋나는데, 아랫잎은 타원 모양이거나 넓은 타원 모양으로서 길이 약 40cm, 나비 약 10cm이다. 끝은 뾰족하며 밑은 좁아져서 잎집으로 연결되고 잎집은 줄기를 감싼다. 잎은 위쪽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꽃은 7∼8월에 짙은 자줏빛으로 피는데, 지름 약 1cm의 꽃이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화피갈래조각은 6장이고 긴 타원 모양이며 끝이 뭉툭하다. 바깥조각의 뒷면에..

칠평천 제방길

형산강 수계에 속하는 지방 2급 하천 칠평천 그 제방길에는 올해도 벚 꽃 터널 이루어 활짝 피어났다.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두류리 산골짜기에서 발원하여 형산강으로 유입되는 칠평천(七坪川) 칠평천 부근에는 칠평마을이 있어 칠평천(七坪川)이라고 하며 일명 한천(寒川)이라고도 한다. 유로연장 16.27㎞, 유역면적 97.3㎢ 예로부터 수량이 풍부하여 유역에 안강평야가 발달하였다. 촬영일 : 2021년 03월 31일 (수요일)

구평리 타포니 지형

타포니(taffoni) 암석의 측면에 형성된 풍화혈을 말한다. 코르시카 섬에서 사용되는 타포내라(Tafonera)라는 말에서 유래된 것으로서 펜크(A. Penk, 1894)가 사용하기 시작한 용어이다. 성인적 측면에서 염풍화(鹽風化, salt weathering)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근래에는 형태적인 의미로 타포니라는 말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주로 결정질 암석에 전형적으로 발달하지만 사암, 석회암, 결정편암 등에서도 발달한 것을 관찰할 수 있다. 지역적으로 열대기후 및 아열대기후의 반건조지역에서 잘 발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우리나라와 같은 습윤지역에서도 발달하고 있다. 용어해설 풍화혈(風化穴 , weathering pit) 암석이 물리적 ‧ 화학적 풍화작용을 받은 결과 암석의 표면에 형..

한반도 동쪽 땅끝마을

호랑이가 남북으로 두발을 딛고 유라시아 대륙을 향해 포효하는 듯한 모양의 한반도 동서남북 땅끝으로 알려진 곳 호랑이의 머리부분인 북단은 함경북도 온성(穩城), 앞발을 세운 서단은 충남 태안군 소원면 파도리 산하루 마을, 남으로 길게 호랑이의 왼쪽 뒷발이 뻗은 남단은 전남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 갈두(葛頭) 마을이고 오른쪽 뒷발이 버틴 동단은 경북 포항시 구룡포읍 석병1리 두일포(斗日浦) 마을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오른쪽 발 위로 꼬리를 말아 올린 곳이 호미곶(虎尾串)이다. 두일포의 지명 유래를 살펴보면 조선 숙종조(朝) 명유(名儒)인 우암 송시열 선생이 장기현에 유배되어 있을 때 이곳을 자주 왕래하게 되었는데, 이 마을 뒷산의 모양이 마치 말(斗)을 엎어 놓은 것과 같고, 마을 앞의 나루터가 일(日)자..